292page

군 사 사 / 기 타 군사연구 제130집 299 야 할 명제와 과제는 무엇인지 모색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본고(本稿)에서는 연합작전 측면에서의 전투 병력을 파병했던 국가들의 활동을 알아보고 한국군의 주요전투에 대해 ‘베트남전쟁의 미국화’ 및 ‘베트남전쟁의 베 트남화’ 기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기로 하겠다. 4) 즉 한국군의 작전양상 또한 이러한 변화에 따라 역할 변화를 보였는데 제9사단의 운용과 해병대가 미군과의 연합작전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다음으로 베트남전쟁사 재인식을 위해 전쟁사 연구경향과 향후 과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그리고 우리에게 주어진 숙명적 안보환경인 한미 동맹으로서 집단안보와 유엔회원국으로서 다 국 가 간의 협력안보를 구현함에 있어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있다. Ⅱ. 다국적군 파병과 역할 1. 다국적군의 파병 가. 전투병력 파병국의 역할 1954년 5월 7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가 패배하고, 북위 17도선을 따라 남북으로 분할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평화협정은 제2차 베트남전쟁의 시 작이었다. 미국은 공산주의 세력의 확산을 봉쇄하기 위해 첨예한 대립을 하게 되 는데, 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의미와 상징성을 지닌 곳이 베트남이었다. 1961년 케네디 대통령은 공산주의 세력의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라오스와 베트남, 그리고 인도네시아 상황을 우려했다. 그는 인도차이나에서 미국의 단호한 결의를 보여줌으로써 공산주의 세력이 제3세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것을 사전에 봉쇄함과 동시에 미국의 동맹국과 적대국에게 미국의 힘과 강력한 의지를 과시해 후부터 1973년 3월 23일까지의 작전 상황을 망라했다. 오홍국, 「베트남전쟁사 연구경향 분석 및 향후과제, 『베트남 연구』제10호, 한국베트남학회, 2010. pp.78∼79. 4) ‘전쟁의 미국화’는 1965년 7월, 존슨은 ‘베트남전쟁의 미국화’를 공식적으로 결정하고 “웨스 터 사령관의 5만 명 증파요청을 승인하는 동시에 앞으로도 요청이 있으면, 받아들이겠다.” 고 발표했다. ‘베트남전쟁의 베트남화’는 닉슨이 1969년 6월 8일, 태평양의 미드웨이섬에서 발표한 “미군의 병력을 점진적으로 철수시키고 북폭을 강화하겠다”라고 발표한 시점부터 로 인식된다. 최용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pp.94∼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