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page

역사상 춘천의 군사적 거점과 가치 192 군사연구 제130집 Ⅰ. 머 리 말 집단과 권력이 발생하고 집단간의 갈등이 수반되면서 그 집단의 근거지는 항 상 군사적인 측면이 고려되었다. 이는 집단의 생존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 제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이래 수많은 전쟁을 통해 그 역사적 흔적이 어느 지역에나 남아있게 되었다. 이러한 군사적인 성격의 유적은 시대에 따라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특히 한 지역내에 한정하여 본다면 그 지역의 군사적인 거점의 변화는 바로 중대한 역사적인 변화 양상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춘천지역내에 존재하는 군사적 거점인 성곽유적에 대한 연구는 춘천에서 일어났 던 중요한 역사적 변화를 읽어내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춘천지역의 주요 군사유적이라고 할 수 있는 성곽유적으로는 우두산성을 비롯 하여 봉의산성, 삼악산성, 용화산성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곽유적은 동시 기에 운영되던 입보성이 아니라 시대 상황의 변천에 따라 각기 다른 입지를 요 하기 때문에 특정 지역의 거점성이 이전되게 되는 것이다. 춘천지역에 이러한 여러 성터가 남아 있다는 것은 춘천에 자리잡은 세력집단이나 행정권력의 존재 를 의미하는 분명한 증거이다. 특히 행정구역 편입이 모호한 시기에 있어서의 해당지역 세력집단과 성곽은 매우 중요한 연계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그 지역을 지배하는 집단의 성격에 따라 또는 그 성의 효능에 대한 평가에 따라 기존성을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신축할 것인가 하는 것이 결정되었을 것이다. 특히 춘천의 성곽유적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우두산성과 봉의산성의 상호 비 교․검토는 매우 중요하다. 우두산성을 필요로 하였던 집단(혹은 시대)과 봉의산 성을 필요로 하였던 집단(혹은 시대)은 명백히 다르며, 이는 삼악산성이나 용화 산성도 마찬가지이다. 춘천지역 성곽유적에 대한 조사나 연구로는 지난 1993년에 발간된 봉의산성 지 표조사보고서가 처음이며, 이후 7여 년만에 삼악산성 지표조사보고서가 출간 되었다. 그리고 1994년과 1997년 발간된 춘천(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에서 춘천 지역 성곽과 봉수지에 대한 내용이 간략히 보고되기도 하였다. 1) 또한 연구 논문 으로는 북한강 유역의 성곽유적을 연구한 「북한강 유역의 전란과 성곽 연구」를 1) 강원도내에서의 관방유적 조사와 연구동향에 대해서는 필자의 「강원지역 관방유적의 연구현황과 과제」 ( 학예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200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