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page

일제하 재만 항일무장투쟁의 추이와 의미(Ⅰ) 176 군사연구 제130집 개최하고 새로운 통일군단인 정의부를 발족하였다. 94) 남만주 북부지역 민족해방운동의 통합체로 출범한 정의부는 하얼빈과 액목현 을 경계로 그 이남의 남만지방 17,000여 호 87,000여 명의 교포사회를 관할구역으 로 하여 활동하였다. 정의부는 이탁 중앙행정위원장을 수장으로 한 중앙행정위원 회와 8개 부서의 행정부, 30여 명의 선출직 의원의 입법기구로의 중앙의회 및 사 법기관인 중앙심판원(中央審判院) 등으로 이루어진 삼권분립체제의 중앙통치기구 를 정비하였다. 95) 그리고 지방과 구(區) 단위로 편제된 지방조직 96) , 700여 명 규 모의 의용군으로 이루어진 군사조직을 갖춤으로써 만주지역 통합독립운동단체 중 가장 규모가 큰 조직체로 성장하였다. 정의부는 민정과 군정을 병행하면서도 특히, 식산흥업과 교육진흥 등의 한인 자치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정의부는 1925년 삼시협정으로 인해 일제와 봉천군벌 의 탄압이 극심해지고 한인을 대상으로 한 의무금 징수 등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지자 97) 독립운동 방략을 수정하여 한인의 안정된 경제적 기반조성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독립전쟁을 준비한다는 쪽으로 노선을 선회하였다. 98) 한인사회의 농업과 상업의 진흥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목적으로 자본금 1만 여 원의 흥실업사(興實業社)를 설립하고, 생활 전반의 개선과 향상을 목적으로 농 민호조사(農民互助社)를 조직하였다. 또한 교육연구회를 설치하여 체계적인 교육 사업을 펼치는 한편 화성의숙․화흥중학교․동명중학교 등 30여 개의 학교 운영 을 통해 일반교육을 비롯해 군사교육 및 사상 문화계몽에도 노력하였다. 99) 이와 9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8, 279~282쪽. 95) 중앙행정조직은 중앙행정위원회를 중심으로 민사, 군사, 법무, 학무, 재무, 교통, 생계, 외무 등 8개 행정부서로 조직되었다. 입법기관인 중앙의회는 의회에서 선출한 의원과 정의부 관할지역 내의 지방조직 단위인 지방 및 독립구에서 선거한 의원으로 조직되었다. 사법 기관은 중앙에 중앙심판원과 지방에 區査判所 및 地方査判所가 설치되었다.(위의 책, 285-86쪽) 96) 지방조직은 千戶 이상의 總管區(總管)와 그 산하에 500호 단위의 地方(地方長)과 50호 단 위의 區(區長)로 구성되었으며, 구장 밑에는 10호 단위의 십가장이 있다.(위의 책, 287쪽) 97) 의무금의 경우 매호당 6원에서 9원 정도를 징수하였다. 그런데 한인들은 중국 측에도 保 甲稅 巡警費 호구세, 우마세, 수리세, 지세, 영업세 등 각종 세금을 납부해야 했으므로 이 중적 부담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황유복, 1990, 「정의부연구(上)-사회적 배경을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15, 225-26쪽) 98) 신주백, 앞의 책, 82~83쪽. 99) 정원옥, 1981, 「재만 정의부의 항일독립운동」, 한국사연구 34, 133-3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