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page

군 역 사 및 역 사 일 반 군사연구 제130집 173 2. 삼부(三府)의 성립과 활동 남만주 압록강 대안의 대한통의부의 분열과 침체에 즈음하여 만주지역의 독립 운동단체는 재차 통합운동을 추진하였다. 이 결과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남만 주의 참의부와 정의부 그리고 북만주의 신민부 등 3개의 독립운동단체로 통합되 어갔다. 여기서는 이들 삼부의 통합과정과 활동에 대하여 개관해보도록 하자. 삼부 중 가장 먼저 결성된 단체는 1924년 5월 출범한 남만주의 참의부(參議府) 였다. 참의부는 통의부 의용군 제1․2․3중대와 유격대 및 독립소대의 대표들이 임시정부 기치 아래 통합을 이루자는 선언서의 공표에 이어 통의부를 탈퇴하면서 조직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주만육군참의부로 출범하였다. 참의부는 출범 이 후 지속된 국내 진입작전 수행과정에서의 간부들의 전사와 1925년 3월 고마령전 투에서의 일본군 기습 피해 등 몇 차례의 존폐 위기를 겪으며 지휘부의 교체와 함께 명칭 또한 주만육군참의부에서 진동도독부로 이어 독판부로 다시 참의부로 바뀌는 수차례의 개명을 겪게 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참의부의 투쟁노선 또 한 초창기 무장투쟁 위주에서 진동도독부 시기 이후 군사와 자치활동을 동일하게 중시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83) 참의부는 집안현을 중심으로 무송․장백․안도․통화․유하현 등 압록강 연안 서간도지역의 15,000여 교포사회를 관할구역으로 민정조직과 군사조직을 동시에 갖춘 일종의 독립된 자치정부로 발전하였다. 84) 참의부는 이들 관할지역 내의 한 인 1000호를 단위로 백가장(百家長)을 두고 그 아래에 십가장(十家長)을 두어 자 치행정을 펼쳤다. 그리고 한인자제의 교육을 위해 각 지방 행정구역에 3개 이상 의 소학교를 설치하고, 중국 당국과 교섭하여 중국 중학교에 한인과를 두도록 하 여 중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85) 참의부는 대한통의부에서 이탈한 의용군이 참의부 성립을 주도했듯이 이들 군 대세력이 참의부의 주도권을 장악하며 무장투쟁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참의부 독 립군은 참의장 겸 제1중대장 채찬(일명 백광운)을 정점으로 중대 당 약 150명 병 력의 5개 중대와 독립소대로 편제되었다. 이들은 압록강 대안 국경에 인접한 지 리적 호조건을 이용하여 국내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일제를 공격하거나 친일파 83) 위의 책, 271쪽. 84) 유준기, 1988, 「참의부」, 한민족독립운동사 4, 224쪽. 8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8, 272-7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