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page

군 역 사 및 역 사 일 반 군사연구 제130집 171 무소를 설치하고, 그 산하에 100호 내지 200호를 1구(區)로 한 구장을 두어, 1923 년 겨울까지 통화․집안현을 중심으로 한 남만 동변도 일대에 총관사무소 26개소 를 설치하였다. 이들 조직은 관할지역 내의 한인을 대상으로 실업 장려와 교육사 업 등의 자치활동을 비롯해 한인들이 생업에 안심하고 종사할 수 있도록 보호해 주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74) 대한통의부의 항일무장투쟁은 군사조직인 의용군을 통해 펼쳐졌다. 김창환을 사령관으로 한 통의부 의용군은 1대대 예하 5개 중대를 비롯해 유격대 및 현병대 로 조직되었다. 군대의 계급체계와 복제 및 군모와 태극기문양의 휘장까지 갖춘 의용군은 1920년대 전반기 국내와 만주를 무대로 항일전을 수행한 핵심 부대였 다. 의용군은 국내진입작전을 통해 다수의 일제기관을 습격하여 많은 전과를 올 렸다. 1923년 6월 20일 의용군 1대대의 신의주 고녕삭면 영산주재소 습격, 그리고 같은 해 8월 의용군 유격대의 청성진주재소 및 세관출장소․우편국 습격 등은 그 전과 가운데 대표적인 예이다. 75) 통의부 의용군의 전투사례에 대한 정확한 통계 는 알 수는 없으나 이에 관해 독립신문 은 1924년 4월 24일부터 6월 29일까지 약 2개월간 국내진입전만 29회 전개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76) 또한 일제측 자료 에도 “1924년 6월 이전 평북 지역에 시국에 관한 사건이 빈발한 것은 통의부와 직간접으로 관계있는 불령자(不逞者)의 침입에 의한 것이다.” 77)라고 기록되어 있 음에서 그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통의부 의용군은 국내진입작전과 함께 친일파 내지 일제 밀정의 처단도 핵심작전 으로 수행하였다. 1922년 12월 의용군은 장춘에서 대련에 이르는 지역에서 이들의 척결을 위해 3개 대(隊)를 편성하여 각지에 분산 파견하고 소탕작전을 단행하였다. 1924년 6월에 일본 외무성 촉탁으로 친일단체인 봉천 보민회장을 역임한 대표적 친 일파 최정규를 처단한 것은 그 대표적 예이다. 78) 국내진입작전과 친일파를 처단하 는 과정에서 다수의 전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통합군단 결성을 통한 투쟁의 결 과물이었다. 통합군단의 결성은 대병력과 무기의 확보를 가능케 했고, 군사들의 사 기진작 및 정보력의 신장 등 제반 전투력의 상승작용을 가져왔다. 이와 더불어 통 74) 한국독립유공자협회, 1997, 중국동북지역 한국독립운동사 , 303-06쪽. 75) 위의 책, 309쪽. 76) 독립신문 , 1924년 7월 26일자, 「我獨立軍의 活動」. 77) 조선군사령부편, 1924, 「不逞鮮人ニ關スル基礎的硏究」, 31쪽. 78) 박걸순, 1990, 「대한통의부연구」,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 24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