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page

군 역 사 및 역 사 일 반 군사연구 제130집 159 적 확대는 독립운동역량을 강화하는 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28) 이와 함 께 일제강점 이전 한말 의병항쟁 시기부터 오랜 기간 실전 경험을 통해 전투능력 을 갖추고 있는 병력도 충원되었다. 1909년 9월부터 2개월간에 걸친 일제의 남한 대토벌작전으로 전력이 크게 고갈된 의병은 새로운 항전기지 구축을 목적으로 만 주와 연해주지역으로 대거 이동하였다. 이들은 강인한 투쟁력을 기반으로 한 집 단으로 즉시 독립전쟁에 투입할 수 있는 핵심 자원이었다. 29) 이 같은 독립운동기지건설과 무장력 확보를 통해 만주 각지에서 조직된 대표 적인 독립군부대를 지역별로 일별하면 다음과 같다. 북간도 지역은 한인들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는 곳으로 대표적 한인 자치단 체인 간민회가 1919년 11월 대한국민회(간도국민회)로 이름을 바꾸고 본격적인 독립운동기관으로 재편되었다. 대한국민회는 연길현 춘양향에 본부를 두고 동서 남북중의 5개 지방회와 70여 개의 지회를 설치해 한인사회의 자치를 담당하였다. 그리고 그 산하에 안무를 총사령으로 하는 국민회군(대한국민군)을 편성함으로써 한인의 자치와 독립투쟁을 일원화하였다. 30) 이와 함께 이 지역의 또 다른 독립군 부대인 대한독립군을 후원하여 이 일대의 독립군활동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주력 하였다. 홍범도를 총사령으로 한 대한독립군은 연길현 명월구에서 홍범도가 인솔 한 의병세력과 간도 및 노령의 농민․노동자․청년 등을 규합한 약 200여 명의 병력으로 창설되었다. 31) 또한 최진동(최명록)이 인솔한 대한군무도독부(군무도독 부)도 왕청현 춘화향 봉오동에 본부를 두고 두만강 대안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 였다. 32) 이들 대한독립군과 대한국민회군 및 군무도독부군은 좀 더 효과적이고 28) 김봉렬, 2004, 앞의 논문, 132-33쪽. 29) 제천의병장 柳麟錫을 비롯해 李鎭龍․趙孟善․朴長浩․白三圭․趙秉準․全德元 등 兩西지 방 의병장, 洪範圖․車道善 등 함경도 의병장 등은 이주해 온 대표적 의병세력이었다. 특히 함경도 홍범도의병의 경우 1911년 3월 朴永信을 선봉장으로 慶源 細川洞의 일본군 수비대 를 습격한 것을 비롯해 1912년 沈石萬 등을 국내에 파견하여 일본군의 경비상황을 조사케 하는 등 국내 진공의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8, 199~200쪽) 30) 국민회군은 1920년 8월 현재 병력 약 450여 명에 소총 600정, 탄약 7,000발, 권총 160정, 수류탄 120개 등의 무력을 보유한 것으로 일제측 자료에 나타난다.(국가보훈처, 1997, 독 립군단명부 , 68쪽) 31) 대한독립군은 1919년 겨울 대한국민회의 산하 독립군부대로 들어가 재정적 지원을 받고 군사와 무력을 증강하여, 병력 400여 명 소총 200정, 권총 30정을 갖춘 독립군부대로 성 장하였다.(신용하, 2001, 일제강점기 한국민족사(상) , 서울대학교출판부, 366-68쪽) 32) 일제 측 조사에 따르면 1920년 8월 현재 군무도독부는 병력 600여 명, 소총 400정, 권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