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page

군 역 사 및 역 사 일 반 군사연구 제130집 157 이므로 이 부분은 논외로 하겠다. 이처럼 만주 각지에는 1910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한인 자치단체와 한인학교가 설립됨으로써 반일역량의 축적과 함께 독립전쟁기지 건설의 기반이 마련되어 갔다. 특히 한인학교는 문무겸전의 교육목표에 따라 근대적 민족교육과 군사교육을 동시에 실시하여 지역 한인사회의 결속력을 지탱해주는 구심점으로 민족의식을 불러일으키고 항일독립의 필요성을 일깨우는 역할을 다하였다. 이를 통해 이후 무장독립투쟁을 담당할 독립군이 배출되었던 것이다. 1916년 당시 압록강, 두만강 대안에 설립된 한인학교가 무려 150여 개에 이르렀다는 사실은 그 정도를 짐작케 한다. 22) 만주지역 한인사회의 독립투쟁기지 건설은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인해 일시적으로 침체 국면에 빠져들기도 하였다. 이는 중국 당국이 재만 한인의 항일운동이 1차 세계대전의 연합국대열에 합류한 일제의 중국 침략에 빌미를 주 지 않을까하는 우려 속에 한인 독립운동을 탄압한 결과였다. 그러나 어려운 조건 에도 불구하고 한인사회는 학교나 농장 등의 이름으로 독립운동기지로서의 기반 을 지속적으로 다져나갔다. 앞서 보았듯이 신흥학교․노동강습소 졸업생을 중심 으로 설립한 백서농장과 같은 형태는 그 대표적 예이다. 이 시기 많은 독립운동 단체들은 독립전쟁을 지향하면서도 그 명칭과 강령 등에서는 대다수 경제 교육운 동을 표방하였다. 23) 이는 당국의 감시에서 벗어나기 위한 목적과 함께 독립전쟁 의 기반조성을 위한 내부적 필요에서였다. 국외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앞서 한인 사회의 경제적 안정과 정치적 자치를 이뤄 지속적 항일투쟁의 근거를 마련하고 민족교육 군사교육을 통해 항일역량을 축적시켜 장기적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 전쟁수행을 꾀하였던 것이다. Ⅲ. 독립군의 결성과 1920년 항일무장투쟁 만주 각 지역에서의 독립운동기지 건설이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국내에서 발발한 3․1운동은 만주지역 한인 독립운동 단체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계기 22) 강덕상편, 1970, 현대사자료 37, 141~65쪽. 23) 한길사, 1994, 한국사 16, 23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