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page

Ⅰ전쟁사Ⅰ 정의의 전쟁(Just War) 이론의 한계 및 대안모색 70 군사연구 제126집 전함과 많은 병력을 파견, 무력시위를 벌였다. 아테네군 사령관은 공격에 앞서 멜 로스에게 협상대표를 보내, 스파르타에게서 등을 돌리라고 요구한다. 멜로스 사람 들은 ‘정의’를 내세우며 그런 요구를 거부한다. 그때 아테네 협상대표가 한 말은 힘(power)를 중시하는 국제정치학의 현실주의 흐름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국 가간 관계에 있어 정의는 동등한 힘을 가진 국가들 사이에서만 가능하다. 정의를 말하려면 힘이 필요하다. 힘이 없을 경우 정의란 아름다운 수사에 불과하다. 강대 국은 자기가 얻고자 하는 것을 힘으로 얻으며, 약한 국가는 그것을 인정할 수밖 에 없다.(The strong do what they have power to do, and the weak accept what they have to accept)”9) 결국 멜로스는 압도적인 군사력을 지닌 아테네 군 에게 점령당했다. 투키디데스는 멜로스 사람들이 겪은 비극을 이렇게 전한다. “아 테네인들은 군인으로 징집될 나이의 모든 남자들을 죽이고, 여자들과 어린이들은 노예로 팔았다. 멜로스를 새 식민지로 삼은 아테네는 전쟁 뒤 500명의 남자를 그 곳에 보냈다”10) 인도주의 윤리 차원에서 비전투원을 보호한다는 오늘날의 정의의 전쟁론에 비춰보면, 아테네는 멜로스에서 결코 전쟁해위의 정당성(jus in bello) 기준들조차 지키지 못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오늘날 거론되는 정의의 전쟁론의 원초적 형태가 드러난 다. 위대한 정복자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으로서 전쟁의 효용을 적극적으로 해석 하는 입장에 섰던 아리스토텔레스는 서양사상사에서 ‘정당한(just)’이란 단어와 ‘전쟁(war)’이란 단어를 함께 쓴 최초의 지식인으로 꼽힌다. 그는 『정치학』에서 이렇게 썼다. “전쟁기술이란 무엇을 얻어내기 위한 자연적 기술이다. 사냥이 야생 동물을 잡기 위한 것이듯, 본성상 지배를 받아야 할 인간들이 복종하길 거부한다 면, 전쟁은 그들을 잡기 위한 것이다. 그러한 전쟁은 따라서 정당한 것이다.(war of such a kind is naturally just)”11) 아리스토텔레스는 전쟁의 최종목표가 평화라 생각했다.12) 아리스토텔레스는 우 주 9) Thucydides,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Translated by Rex Warner, Penguin Books, 1972), p.404. 10) Ibid. p.405. 11) Aristotle, The Politics, translated by Trevor J. Saunders, T. A. Sinclair (Penguin Books, 1981) 1256b25. 12) Aristotle, Nicomachean Ethics, translated by Terence Irwin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85), 1177b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