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page

군사연구 제126집 47 라를 지탱하고 운영하는 외곽적 국가 운영의 근간주체로서의 군대를 성립시켜서 이를 토대로 중심을 잡고 독립군을 챙기며 용기를 북돋아 이끌면서 국권을 회복 하겠다는 야심찬 큰 포부와 계획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임정이 비록 여 러 가지 여건이 미성숙 단계에 머물러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에서 영세함을 극복하면서 군대가 성립되었다는 것은 어느 모로 보나 민족 발전의 영속성을 가 져오는 큰 위력과 견인차의 기초적 임무 수행이 아닐 수 없겠다. 광복군 성립의 한 조력자인 이유필의 개인적 노력은10) 임정 27년사의 이 같은 큰 군대 창설과 그 운영의 민족사적 피의 역사는 복받은 민족의 은총이며 하늘을 섬기는 겨레의 섭리로 인식되고 있다. Ⅲ. 임시정부의 광복정책과 국내진공작전 1. 광복정책 1920년 5월에 ‘상하이 임시정부 한국 독립 방책의 건’에 노출된 일제 측 정보에 의하면 임정 대통령의 지휘감독을 받은 군무총장이 이를 책임지고 ‘독립 사업’을 전개하게 되었다.11) 그에 따르면 첫째, 군사상 수양과 경험이 있는 인물을 소집 하여 작전계획을 준비하며 군사직무를 분담 복무하게 한다. 둘째, 러시아 중국 각 지에 10만 명 이상의 의용병지원자를 모집하여 대오를 편성하고 야학의 개설, 군 인의 군사훈련 등 인재양성을 한다. 셋째, 러시아 중국 각지에 사범부를 분치하여 군사교육을 감독한다. 넷째, 군사적 기관을 조사하여 군무부에 예속시킨다. 다섯 째, 각지의 의용병을 모집하여 요새에 잠복시킨다. 여섯째, 러․중에 사관학교를 설치, 사관을 양성한다. 이는 신흥무관학교의 건학정신을 계승하는 것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 일곱째, 청년을 미주에 파견하여 비행기 제조와 비행전술 전략을 습 득한다. 여덟째, 청년을 선발하여 작탄대(炸彈隊)를 편성, 그 기술을 습득한다. 등 등 14가지의 전술 전략이 법제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12) 이는 이미 1919 년 12월 18일 공포된 임시육군군제에 의거 시정 방침으로 확정해 놓고 있었다. 주 10) 이현희, 『춘산이유필연구』, 동방도서, 1991, 45~9쪽 78~94쪽 참조. 11)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 중국편, 1976, 107~114쪽. 12) 대한민국육군임시군제 전 55조 부칙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