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page

Ⅰ군역 사 및 역사일반Ⅰ 한국광복군 활동의 연구와 현재적 의미 44 군사연구 제126집 Ⅰ. 서 론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의 법통성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임시정부(1919~1945) 27년사의 광복 투쟁 과정 중 동 직할 정규 무장단위 7백여 명 규모의 강건한 부 대로 충칭시기(1940~45) 5년간 가장 빛나는 활동을 하였다. 오늘날 대한민국 국 군의 뿌리로서 현재까지 근 70여 년(1940~2008)의 성립과 눈부신 군사 활동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이를 중심으로 그 활동과 현재적 의미를 역사적으로 탐색 해 본다. 광복군 연구의 대표로는 한시준 교수의 노작이 있다. 필자는 대학에 재직하면서 1983년도 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사연구실장으로 파견 근무 당시 연구과제로 중국의 임정 관련 지사들을 면담, 성책(成冊)한 이후 두 번째로 한국광복군과 임정 관련 인사들을(20여명) 각계로부터 추천 받아 방문 면담하여 그것을 풀어서 책으로 간행해 냈다.1) 지금으로부터 25년 전의 일이었다. 이 책에 수록된 광복군 출신은 김국주, 김승곤, 김신, 김준엽, 문응국, 민영수, 박영준, 선우진, 안병무, 안춘생, 유해준, 윤경빈, 이재현, 이준승, 정운수, 조인제 지사 등이었다. 그 중 생존해 있는 분은 7명 정도에 불과하다. 작고하신 분은 이 것이 국민에게 남긴 공개 유언장이 된 셈이다. 필자는 이들을 통해 자료에 없는 숨겨졌던 광복군의 중국 각지에서 실제 활동 상황을 상세히 파악하였다. 다행스 러운 사실은 임정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이들을 통해 광복군 이해에 큰 도움을 받 았다는 사실이다. 자료에 없는 숨겨진 진솔한 내용을 알게 되어 크게 고무된바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쫓기던 시기여서 자료가 문자로 남아 있을 수 없었다. Ⅱ. 한국광복군 성립의 민족사적 의미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이동녕, 이시영 등 민족 지도자들에 의하여 국 제도시 상하이에 수립 선포된 이래 절대 완전독립 완수라는 정부의 목표달성을 위해 전후로 도착한 40여 명의 지도자들은 충용, 혈전, 광복, 철혈의 의지로써 단 결한 가운데 대일투쟁을 당당히 선포하였다.2) 광복군이 성립된 1940년 9월 17일 주 1) 이현희 편, 『한국독립운동증언자료집』,정문연(현 한중연) 1986, 402쪽. 2)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 포고 제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