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4page

군사연구 제126집 365 【표 4】 포로교환에 대한 양측의 기대치와 합의안 UN측 공산측 양측 절충안 제네바협약 제7조의 포로의 자발적 송환 제네바협약 제118조의 지체없이 포로 전원 송환 양측의 입장 고수 1대 1의 교환 전체 대 전체 교환 포로에 대한 국적 심사 그 결과에 따라 선별적 교환 국제적십사대표의 포로면담 포로송환위원회 설치 포로송환위원회의 포로관리 포로 자격 기준설정은 전쟁 이전과 이후 포함 전쟁 이후의 기준 적용 포로 전원을 비무장지대의 중립국위원회로 인도하여 설득 권고의 기간을 가짐 * 출처 : 김선숙, “한국전쟁의 휴전협상 과정에 관한 연구”,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2집 2호, 2002, p.196. 따라서 공산측은 전쟁포로의 전부귀환을 견지하고 UN측은 “자유송환”을 견지 해 쌍방이 입장을 달리하면서, 한국전쟁은 장기간 지속될 수밖에 없었다, 이후 포 로교환 문제는 1951년 12월 11일부터 시작하여 1953년 5월 25일 【표 4】와 같은 내용의 합의를 이루어내었고, 그 결과 1953년 7월 27일 22시, 한반도와 근해 및 공중에서의 모든 군사행동이 중지되었다. Ⅳ. 결 론 한국전쟁의 원인에 대한 가장 최근의 연구 성과는 김일성의 집요한 전쟁의지, 스탈린과 모택동의 전폭적인 지원과 참여, 미국의 소극적인 대한정책과 전략, 이 에 따른 승패 구분 가능성의 가시화, 여건과 능력면에서 전쟁의 신속한 종결과 승리를 내다본 공산측의 판단과 이에 근거한 북한의 무력사용 등을 중요하게 평 가하고 있다.40) 특히 최고 정책결정자인 스탈린-모택동-김일성이 한국의 내부 붕 주 40) 온창일, 앞의 글, pp.460~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