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page

군사연구 제126집 361 【표 2】 UN군의 병력 규모 구 분 지 상 군 해 군 공 군 미 국 보병(8개사단), 해병(1개사단), 병력(302,483명) 미 제7함대 극동공군 영 국 보병(2개여단), 해병특공대(1), 병력(14,198명) 함정 17척 (항모 1척 포함) 호 주 보병(2개대대), 병력(2,282명) 함정 4척 (항모 1척 포함) 전투대대(1), 수송편대(1) 네덜란드 보병(1개대대), 병력(819명) 구축함 1척 캐나다 보병(1개여단), 병력(6,146명) 구축함 3척 수송기대대(1) 뉴질랜드 포병(1개대대), 병력(1,389명) 프리킷함 1척 프랑스 보병(1개대대), 병력(1,185명) 구축함 1척 필리핀 보병(1개대대), 병력(1,496명) 터 키 보병(2개여단), 병력(5,455명) 타 이 보병(1개대대), 병력(2,274명) 프리킷함 7척, 수송선 1척 수송편대(1) 그리스 보병(1개대대), 병력(1,263명) 수송편대(1) 남아공 전투비행대대 (1,255명) 벨기에 보병(1개대대), 병력(900명) 룩셈부르크 보병(1개소대), 병력(48명) 콜롬비아 보병(1개대대), 병력(1,068명) 프리킷함 1척 에티오피아 보병(1개대대), 병력(1,271명) * 출처 : 김광수, “한국전쟁과 유엔 참전 16개국의 기여”, 『한국전쟁과 유엔참전국 의 역할』(서울 :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03), p.5. 3. 정전(停戰)협정 한국전쟁에 개입한 중국군은 순식간에 UN군을 격파하여, 1951년 1월 4일, 재차 서울을 점령하였다. 이후 38선 부근에서의 “정체적인 전투상황”은 계속되었다.30) 주 30) 김계동, “중국의 한국전 개입 이후 미국의 세력권 회복 전략”, 『軍史』 제56호, 2005, pp.7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