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6page

군사연구 제126집 357 【표 1】 抗美援朝戰爭 中國人民志願軍 戰果統計 구 분 운동전 시기 진지전 시기 합 계 적 섬 멸 적 살 상 148,293 523,661 671,954 적 포 획 36,835 9,253 46,088 적 투 항 149 286 435 합 계 185,277 533,200 718,477 노획한 적의 주요 무기/장비 탱 크 187 58 245 차 량 4,954 302 5,256 장 갑 차 50 1 51 비 행 기 0 1 11 각 종 포 3,133 904 4,037 각종총기류 45,252 28,010 73,262 격파 및 파손한 적의 주요 무기/장비 탱 크 348 1,658 2,006 차 량 1,371 1,794 3,165 장 갑 차 27 17 44 비 행 기 467․ 583 583 * 출처 : 중국 군사대학원 군사역사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역, 『중공군의 한국전쟁 사』(서울 : 세경사, 1991), p.392. 2. 모택동의 중국군 개입 총공세를 펼친 UN군은 10월 26일, 국군 6사단 7연대가 초산에 진출하였고 11월 20일, 미 7사단 17연대가 혜산진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맥아더가 북진한계선 을 철폐한 그 다음날, UN군은 중국군 대부대와 조우하여 공격이 돈좌되었을 뿐 만 아니라, 기습적 역공세에 부딪혀 대혼란에 빠지고 말았다. 한국전쟁에 있어 중국군의 개입은 전쟁을 새로운 국면으로 바꾸어 놓고 말았 다. UN군의 전세는 공세에서 수세로 전환되었고, 압록강과 두만강을 지척에 두고 후퇴하여야 했다. 이제 한국전쟁은 북한군 및 중국군과 국군 및 UN군의 대결, 즉 공산군과 UN군의 대결구도로 발전하였다. 이로써 한국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 이 후 날카로운 대립현상을 보여 오던 동서 양 진영의 냉전구도와 결부되어 한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