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4page

Ⅰ군사관리Ⅰ 육군군사연구소 자료실의 역사기록관으로서 위상 정립과 역할 모색 294 군사연구 제126집 증한 문서들로 엄격한 심사를 통해 수집된다.22) 육군의 유실기록 및 기획 수집을 위해서는 신문, 방송 등을 통한 광고와 백선 엽 장군과 같은 선행 기증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수집할 수 있다. 특히 역대 참모 총장 및 주요 인사에 대해서 정보를 관리하여 자서전, 회고록 기념회 및 장례식 에 참석하여 기록물을 수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체계적인 수집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2006년 군사연구소에 전사연구 기능이 보강되면서 새롭게 신설된 세계전쟁 및 지역분쟁 분야는 국내․외의 유일한 연구기관이라는 점에서 더더욱 이러한 기증 을 통한 수집과 사료조사 사업을 통한 양질의 해외자료 수집이 요구된다. 2. 육군 역사기록관 개편 안 군사연구소 자료실이 역사기록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 는 조직체계와 전문 인력 충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선 역사기록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의도적인 조사․연구과정을 통해 조직 의 역할에 맞는 기록을 수집하는 것이므로 전문적인 수집프로그램을 주도, 운영 하는 수집 전담부서가 신설되어야 하며, 여기에는 지역별로 군내 및 국내․외로 구분하여 전문수집관이 필요하다. 특히 역사기록관에서의 수집업무는 육군의 조 직과 역사기록관의 역할을 이해하고, 연구에 경험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기록 물의 물리적․법적인 이관을 포함하는 수집의 전 과정을 책임지고, 수집 이후의 정리․분류 단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성이 가장 요구되는 분야이다. 또한 수집한 기록을 분류․정리하기 위한 부서와 열람과 공개에 대한 서비스 및 정보화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부서가 필요하며, 기록물의 보존시설 구 축 및 보안․재난대비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시설․장비․환경기준 점검하기 위한 부서도 있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기록관의 역할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제도 정비, 예산․행정 지원, 전시 및 발간에 대한 업무를 지원하는 기획․홍보과가 필요하다. 주 22) 나종남, (2004),「미 육군 역사연구소 소장 한국사 자료조사 및 해제」,『미국소재 한국 사 자료조사보고 Ⅳ』81~8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