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2page

Ⅰ군사관리Ⅰ 육군군사연구소 자료실의 역사기록관으로서 위상 정립과 역할 모색 292 군사연구 제126집 로부터 발간되는 간행물이 대부분 자동으로 입수되고 있으며, 군사연구소에서 발 간하고 있는 간행물 또한 대내․외 관련기관에 배본되고 있다. 그러나 수집 간행 물에 대한 선별 기준과 생산되는 간행물의 보급, 폐기 등에 관한 공론화된 의사 결정 과정이 없어 업무가 일관적으로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부분을 개선 하기 위해서는 간행물 선별 기준을 정하고, 간행물의 계속 수집여부 및 생산시 발간부수, 배본, 폐기에 이르기까지를 간행물 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 결정하는 것 이 필요하며, 이를 명문화해야 한다. 해외기록을 수집하는 방안으로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역사기록관 소속 전문 수집관을 파견 둘째, 해외에 파견된 무관을 활용 셋째, 해외 거주 전문 수집관 이용하는 방법이다. 역사기록관 소속 전문 수집관을 파견하는 경우는 가장 이상적인 방안으로 육 군에 대한 이해와 역사기록관의 역할, 연구에 대한 방향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 에 이에 맞는 기록을 적절히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조 건을 갖춘 전문 인력의 발굴이 쉽지 않으며 수집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을 가 지고 있다. 두 번째 육군에 소속되어 있으며, 주요 국가에 일정기간 체류하고 있는 무관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지속적인 수집과 수집에 특별한 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을 가 지고 있으나, 수집목적에 대해서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다면 질적인 부분에서의 수집이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출국 전에 이러한 점에 대 한 일정기간 교육을 통해서 보완할 수 있다. 세 번째 해외 거주 전문 수집관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는 국사편찬위원회, 군 사편찬연구소, 국회도서관 등에서 현재 수집의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적시적인 수집이 가능하며,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양질의 역사기록을 수집할 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타 기관과의 수집목록을 지속적으로 교류하여 중복 수집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과 병행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문, 방송 등의 육군 관련 보도 자료의 수집은 정훈공보과와 국방 홍보원을 이용하여 다각도로 수집하고, 이를 스크랩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할 뿐만 아니라 검색이 활용하도록 데이터 관리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육군에서 실제로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록에 대해서는 정보 관리를 통해 연구자 및 이용자들이 연관된 기록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