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4page

Ⅰ군사관리Ⅰ 육군군사연구소 자료실의 역사기록관으로서 위상 정립과 역할 모색 284 군사연구 제126집 이 중 현용기록에서 역사적으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기록의 수집은 각급 부대 에서 기록물 생산시 최종 결재권자가 문서 표지에 “역사” 또는 “정책”으로 표시 한 후 군사연구소로 이관하는 체계로서, 그 유형은 정책심의자료, 부대계획 및 편 제, 주요훈련 및 시범, 각종 통계 및 현황, 정보 및 첩보자료, 사업분석, 사건사고, 제도 및 방침의 변천내용, 규정 및 법령 입안자료 등이 해당된다.6) 또한 역사보고는 수집시기별로 정기, 수시, 기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선 정기역사보고는 각 부대 연간 주요활동을 작성, 군사연구소로 제출하는 것으 로 그 대상부대에 따라 참모부사, 병과사, 부대사, 학교사, 부대계보로 명칭을 달리하며7) 당해연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중요 활동사항을 망라하여 작성, 자대에 1부를 영구 보존하고, 1부는 익년 1월 31까지 군사연구소로 제 출된다. 수시 수집대상인 전투상보․작전일지는 전․평시를 막론하고 주요작전 활 동에 참가한 각급 부대가 작전 종료 후 주요작전활동을 기록하여 제출하는 것으로 작전대상은 정규전, 비정규전, 대비정규전, 해외파병을 포함한 군사작 전과 비군사적 위협 대비작전을 포함한다.8) 현재 군사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1차 원본 사료인 한국전쟁, 파월전쟁사료가 이렇게 수집된 대표적인 역 사기록물이다. 그 이외 각 부대에서 수시로 발간되는 간행물은 4부씩, 부대 지휘관이나 참전 장군들의 전기 및 회고록 발간시 수집한다. 주 6) 2003년 기록물관리규정 제정에 따라 기정단으로 모든 생산기록물이 이관되면서 기존 수기문서 중심의 기록물 수집실적은 전무한 실정이다. 7) 참모부사는 육본 부․실․단을 대상으로 하며, 독립여단급 이상 부대는 부대사, 군사 교육기관에서 제출하는 학교사, 통상명칭을 보유한 연대급 이하의 단위부대의 편제변 경, 지휘관 동정 등 주요 활동사항을 육하원칙으로 요약 기술하는 부대 약사인 부대계 보가 있다. 8) 전투상보는 작전 유형별로 작전에 참가한 군, 관, 민 모든 제대의 작전 및 지원활동을 망라하여 작성되며, 객관적인 입장에서 정확하게 기술하고, 상급부대에서는 제출된 내 용을 임의로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없다. 또한 사실을 설명 또는 입증할 수 있는 사진, 기록물, 물품, 개인 수기 등도 첨부하도록 한다. 전투상보는 적군과 아군의 배치, 구성, 병력, 장비, 전투부대상황, 인접부대 상황과 작전 지역의 기상, 지형 등을 포함한 작전배경부터 편성부대, 결과, 분석/교훈까지 상세히 기 술하도록 하고 있다. 군사연구실, 1997,『군사업무실무참고서』, 제4장(군사보고), 3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