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page

군사연구 제126집 283 사보고, 전투상보․작전일지, 간행물 이외에 범주를 확장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육군이라는 조직의 역사적 사실을 증거할 수 있는 역사기록의 범주는 세 가지 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기정단에서 관리하고 있는 현용기록 중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기록물 둘째, 국방부, 합참, 기타 행정기관 등이 육군과 다양한 상 호작용을 통해 생산되었거나, 육군의 활동에 영향을 끼친 역사기록 즉, 육군 관 리대상 기록물에서 제외되는 대외 기록 셋째, 연구 및 교육 둥의 특정 목적을 위한 기록물, 육군 정책입안의 뒷받침이 될 수 있는 전례(前例) 즉 제도, 정책, 조직 등의 변천사나 교육이나 교리 도출 등의 특정을 목적을 위한 기획 수집 기 록물이다. 또한 서비스 측면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국민의 알 권리 보 장 및 기관의 정보화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기록물 공개에 대한 국민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육군에 대한 전문 연구자 및 국민의 요구사항을 분석, 컨텐츠 개발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 전시․홍보활동을 활발히 전개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육군에서 역사기록관의 역할 즉, 대내․외 다양한 출처로부터 육 군과 관련된 기록을 선별․수집하고, 이를 통해 대국민 서비스와 전시․홍보활동 을 하는 역할은 대군 신뢰도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육군 역사기록의 파편화를 방지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국가적인 차원에서 추진 중인 기록물관리법에 의해 육군 현용기록을 관리 하는 기정단의 관리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누락․폐기될 우려가 있는 陸軍史的으 로 가치 있는 기록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함으로써 중복이나 대립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 보완적 관계로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Ⅲ. 역사기록 수집현황 및 문제점 1. 역사기록 수집현황 육군에서 역사기록 수집에 대한 내용은 군사업무규정을 근거로 하며, 여기에서 수집대상을 현용기록 중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기록물과 역사보고로 구분하 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