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page

Ⅰ군사관리Ⅰ 육군군사연구소 자료실의 역사기록관으로서 위상 정립과 역할 모색 282 군사연구 제126집 藏)이라는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를 가져온 원인은 육군에서 역사기록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이 장에서는 일반적인 조직의 역사기록(manuscripts)의 범주를 재조명하고, 육군에서 역사기록관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조직의 역사기록은 조직의 연혁과 주요 활동을 담고 있어야 한다. 즉 역사기록은 조직의 시․공간 감각을 제공해주고, 조직원에게 조직이 국가 속 에서 수행해야 할 역할을 교육시키는 자료로 활용된다. 뿐만 아니라 정책을 수립 하고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례(前例)를 제공 한다.5)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조직에서 역사기록 범주는 세 분야 로 범주화할 수 있다. 첫째, 조직에서 생산된 기록물 중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기록물 둘째, 대외에서 생산된 조직과 관련된 기록물 셋째, 조직사(제도, 정책 등) 및 특정 연구를 목적으로 기획 수집 기록물 역사기록관의 수집체계는 주로 기증과 구매, 이관의 방식으로, 현지 수집을 위 한 현장조사와 잠재적인 기록물 수집활동을 통해서 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 연구자 및 대중에게 서비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육군에서 수집하고 있는 역사기록은 육군에서 생산된 기록물-각 부대로부 터 1년 단위로 제출되는 부대사, 부대계보, 작전이나 전투시 제출되는 전투상보, 작전일지, 그리고 일부 발간 간행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2006년 전쟁사 연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3개 연구부서가 증편되었으나, 연구 초기단계로서 아직은 체계적인 기획 수집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육군에서 이러한 역사기록 편중현상은 조직사 연구뿐만 아니라 육군의 주요활 동을 증거하기에는 극히 제한적이다. 왜냐하면 육군의 활동은 국방부와 합참, 그 리고 공․해군, 기타 다른 기관과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육군의 주 요활동 및 사건에 대한 원인과 결과, 그 배경과 영향에 대한 사실들은 육군에서 생산된 기록만으로는 규명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육군에서는 현재 군사연구소 자료실에서 수집하고 있는 정기역 주 5) F. Gerald Ham, (1993),『Selecting and Appraising Archives and manuscripts』, SAA, ; 강경무, 김상민 역, (2002),『아카이브와 매뉴스크립트의 선별과 평가』, 진리탐구, 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