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page

Ⅰ군사관리Ⅰ 육군군사연구소 자료실의 역사기록관으로서 위상 정립과 역할 모색 280 군사연구 제126집 최근 들어 군사연구소 자료실은 창군 이래 단순 수집, 보관기능에서 벗어나 서 비스 중심의 정보화 추진계획과 함께 지금까지 그 기능 및 역할이 모호했던 자료 실의 성격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역사기록관으로 명칭 및 기능을 개편하기 위 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전자화된 생산 환경, 복잡한 업무와 다양 한 기관과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광범위한 육군 활동 속에서 역사적 보존가치 (Archival Value)가 있는 기록을 선별, 보존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1999년 제정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기록물관리법’ 으로 약칭함)의 시행에 따라 공공기록물 관리체계에 육군 전 조직도 포함되어 현 용기록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반면, 역사기록에 대한 기존의 수동적 수집 체계와 혼선을 빚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군사연구소 자료실은 역사기록관으로 서 역할을 수행하기에 더욱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군에서는 역사기록 관리와 기구에 대한 학술적인 논의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그동안 육군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기록학적 관점에서가 아닌 행정학, 전산학 등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그 논의 의 대상 또한 ‘육군기록물’-행정기록물-에 한정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육군에서 군사연구소 자료실이 역사기록을 수집․관리․서비스하 는 수집형 역사기록관으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 그에 따른 수집체계의 개선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논의의 전개는 일반적인 역사기록관 수집대상을 통해 육군에서 역사기록관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군사연구소 자료실의 역사기록 수집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수집체계의 개선 및 역사기록관으로 개편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글은 무엇보다도 기록물관리법 틀 내에서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향후 육군 역사기록 관리에 대한 관심의 단초를 제 공하고자 한다. Ⅱ. 육군 역사기록관의 필요성 육군 기록물관리체계는 기록물관리규정이 제정되기 이전까지-현용기록(record) 은 중앙문서관리단에서, 역사기록(manuscripts)은 군사연구소에서 관리하는-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