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9page

군사연구 제126집 229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외교적 방식으로 일본을 설득하려 했으나 이 시도는 성과 가 없었고, 1903년 말부터 1904년 초에 이르러 극동 지방의 군사적 갈등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어가고 있었다.62) 대한제국의 중립화 정책은 러시아와 일본사이의 견제 구조의 메카니즘을 동반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만주-대한제국 블록에 대한 일본의 주장으로 극 단적인 어려움을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대한제국 정부의 중립화 정책의 시도는 성과 없이 러일전쟁까지 이어졌다.63) 때가 다르긴 하지만 러일전쟁이 발 발한 3일 뒤인 2월 11일 미국은 일본에 대해 “러시아가 만약 존중만 해준다면, 중국의 중립적인 태도에 대해 일본은 중국의 의사는 존중 되어져야 된다고” 말하 였다. 하지만 이 문서에 중립화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64) 이상의 고종의 중립화 정책은 대한제국시대 국권이 상실되기 직전 국권을 지키 기 위한 노력이었다는 점에서 비록 성공하지는 못하였지만 큰 의미를 갖는다. 고 종의 중립화 노력은 독립을 수호하기위해 행해졌으나 이미 대한제국의 국권이 기 울어가는 시점, 곧 열강에 의하여 동아시아가 세력분할이 되는 시점에서 중립화 정책이 시도됨으로 인하여 열강의 공동보증을 이끌어 내는 데는 실패하였으나 러․일의 틈바구니에서 국권을 지키려는 방법으로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평가할 수 있다.65) 3. 일본군의 서울 점령 일본은 1904년 1월을 전후하여 전쟁 결행과 대한제국의 군사적 점령을 위해 제 물포․부산․마산․군산 등지에 군수물자를 수송해 오고 있었으며, 2월 6일에는 러시아와 국교단절을 선언했다. 이어 일본은 8일 제물포 앞 팔미도에서 러시아 함정을 급습함으로써 전쟁을 도발하였다. 그리고 그날 밤 일본은 수송선을 타고 온 지상군 약 2천명을 제물포에 상륙시켜 영등포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과 함께 주 62) Пах Чен хё, 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1904-1905 гг. и корея, с.152. 63) John Chapman 외, Rethinking The Russo-Japanese War, 1904-5 -Volume II, Folkstone, Global Oriental, 2007, p.116. 64) David Wolff 외, The Russo-Japanese war in global perspective : World War Zero -Volume II, Leiden, Brill, 2007, p.472. 65) 엄찬호, 『고종의 대외정책 연구』, 춘천 : 강원대학교, 2000, p.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