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page

Ⅰ전쟁사Ⅰ 러 ․ 일전쟁기 러시아군과 한인과의 관계 연구 226 군사연구 제126집 협상이었으나 내면적으로는 대한제국을 종속국가의 위치에 두고자 한 흉계였 던 것이다. 2. 대한제국의 대응-고종의 중립화 선언 고종은 대한제국에서 러시아와 일본 간의 전운이 감돌자 대한제국의 영세중립 정책을 시도했다. 영세중립은 그 국가의 자주적 독립과 영토의 통합을 주변국가 와 협정에 의해 영구적으로 보장하는 제도이다.51) 대한제국의 애국 운동가들은 국가의 운명이 러시아와 일본 간 교섭 결과에 의 존할 것이라는 사실을 자각하였고, 따라서 대한제국의 중립국 승인을 여러 번 제 안하였다. 1898년부터 1901년까지 일본과 러시아는 강대국의 보장 하의 대한제국 의 중립선언 계획을 검토하였으나, 최종 합의점 도출에는 실패하였다. 최종 합의 실패의 주원인으로 대한제국의 통치권 간섭에 관한 일본의 요구, 만주 영토에 대 한 러시아의 보호와 같은 억지 구실 주장을 들 수 있다. 물론, 이런 조건 하에서 의 대한제국 문제에 관한 -그 당시에는 대한제국의 중립국에 관한- 러시아와 일 본 간 교섭은 풀리지 않는 논쟁거리로 남아 있었다. 국제 지역 정세에 있어서 극 심한 변화가 일어났던 시기인 1903년 8~9월, 대한제국의 중립에 관한 문제는 다 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할 논제로 부각되었다. 대한제국 정부는 러일전쟁 발발 의 경우 대한제국의 중립 선언에 관한 문제를 의논하기 위하여 외상 고무라(小村 壽太郞)와 교섭을 목적으로 특명 전권 대사 고영희를 일본으로 파견하였다. 그러 나 고무라는 시기가 적절하지 않다는 이유로 이 제안을 거절하였다. 그러자 대한 제국 정부는 비슷한 제안을 러시아 정부에 요청하였다.52) 또한 고종의 밀사로 일 본을 방문한 현영운은 1903년 9월 고에이를 통해 대한제국의 영세중립 방안을 일 본 정부에 다시 제출했으나 거절되었다.53) 한편, 도쿄에서 열린 러시아와 일본 간 회담은 진행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었 다. 시간이 점점 흐름에 따라 대한제국 국민들은 이제는 자국의 운명이 대한제국 의 영토에서 결정지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 회담 결과에 따라 좌지우지될 것을 예감하고 있었다. 대한제국 국민들에게 심리적인 압력을 주기 위하여 일본인들은 주 51) 강종일, 「미국의 대한정책 :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와 안정을 위한 대안」,『평화학 연 구』제7권 3호, 서울 : 세계평화통일학회, 2006, p.307. 52) Пах Чен хё, 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1904-1905 гг. и Корея, с.148~149. 53) 김갑철, 『강대국과 한반도 : 4강 체제와 한국통일』, 서울 : 일신사, 1974, p.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