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page

군사연구 제126집 223 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자존심으로 외교를 견지하는 정책을 택하고 있었다. 그 러나 이때 영국은 이 방침을 버린 것이다. 러시아의 적극적인 극동진출을 보고 고립정책을 버리고 영국은 일본은 동맹을 맺은 것이다.38) 동맹 체결을 위한 영일 양국 사이의 초기 단계의 협의는 1901년 4월 16일에 시 작되었다. 비공식적으로 영국 정부의 의향을 탐색하라는 가토 외상의 훈령에 따 라 하야시 영국주재공사는 랜스다운 외상을 만나 협의를 제의한 것이다. 그러나 영국의 반응은 소극적이었다. 영국 당국이 최초로 일본에 찬성 의사를 나타낸 것 은 3개월이나 지난 뒤의 일이었다. 그럼에도 가을까지 교섭은 부진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야시의 영국과의 공식 접촉은 10월 16일부터 시작되었다.39) 하지만 동 맹 체결을 위한 공식 교섭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11월에 들어서였다.40) 그 리고 일본 측의 안은 하야시에 의해서 12월 12일부로 영국 측에 제시되었다.41) 그 뒤에도 수정과 반대 수정을 거치기는 했지만 동맹은 결국 1902년 1월 30일 랜 스다운과 하야시에 의해 조인된다.42) 동맹의 현실적 이득을 누린 쪽은 일본이었 다. 대한제국에서의 권익 요구 문제도 영국은 결국 일본에게 상공업의 이해는 물 론 ‘정치상의 이해’까지도 인정했다.43) 그리고 대한제국에서 이 같은 일본의 권익과 양자강 유역에서 영국의 권익이 다른 열강의 침략 행위나 청국 및 대한제국에서 혼란으로 위협을 받게될 경우 양 체약국은 그 권익을 방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 동맹을 통해 일본은 권익을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 권익을 수호하는 문제까 지 영국의 지원을 보장받은 셈이었다.44) 영일동맹은 동아시아에서의 갈등이 세계적인 전쟁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했다고 말할 수 있다.45) 하지만 이 조약으로 영일이 대한제국에서 이해를 놓고 공동전선 주 38) 고영자, 『러일전쟁과 한국』, 서울 : 탱자출판사, 2007, pp.149~150. 39) J.A.S. Grenville, Lord Sailsbury and Foreign Policy -The Close of Nineteents Century, p.412. 40) Ian H. Nish, The Anglo-Japanse Alliance -The Diplomacy of Two island Empires 1894~1907, p.230. 41) Ibid, p.206. 42) Ibid, p.216. 43) Ibid, p.213. 44) 최문형,『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 pp.148~149. 45) 김보연,「1902년 제1차 영일동맹 체결 원인과 의미 : 영 제국 세계 전략의 지역적 전 개」,『세계정치』 Vol.26 No.1, 서울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05, p.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