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2page

Ⅰ전쟁사Ⅰ 러 ․ 일전쟁기 러시아군과 한인과의 관계 연구 222 군사연구 제126집 아시아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세계 최강대국인 영국이 적절한 동맹 대 상이었다.32) 일본은 처음에 영국, 러시아의 두 강국 중에서 어느 쪽과 제휴하는 것이 좋은 것인가를 놓고 갈등 속에 빠졌다. 이또 등은 러시아와의 제휴를 주장하였고 가츠 라(桂太郞) 등은 영국과의 제휴를 주장하였다. 갑론을박하던 일본정부는 1901년 12월 7일의 원로회의에서 영국과의 동맹을 결정하고, 주영공사 하야시(林董)로 하 여금 영국 외무대신 랜스다운(Lansdawn)과 1902년 1월 30일 런던에서 제1차 영 일동맹을 체결하였던 것이다.33) 영국도 일본과 손잡고 아시아에서의 영국의 이익 을 보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였다. 주 러시아 프랑스 공사 몽데벨로(Due de Montebello)가 1901년 1월에 러시아의 동북삼성의 지배를 양해하였고 독일황제도 러시아가 여기서 제반 이익을 향유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는 일이라고 각기 자 기의 이익을 고려해서 천명하였다.34) 영국에게는 동북아문제에 관하여 제휴할 대 상이 일본밖에 없었다. 더구나 러시아의 동진을 저지해야 했던 입장은 일본이 영 국보다 더 절실하였다. 일본은 유럽열강이 대한제국에 있어서 우월한 지위를 인 정해 주기를 갈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영국으로선 일본과 같은 신흥 해군 세력이 아시아에 있어서 자국의 식민지와 상업적 이권을 위협하지 않는다는 보장 이 필요했다.35) 불평등 조약 개정을 둘러싸고 전개된 일본의 끈질긴 대영 접근 노력이 주효하 기도 했겠지만, 아시아에서 일본 해군력을 이용할 필요가 절실하게 된 영국의 대 일 접근 노력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었다. 자국의 아시아 제해권이 러불동맹으 로 해군력의 위협을 받게 된 상황에서 이는 부득이한 일이었다.36) 따라서 영국의 입장에서 영일동맹으로 진입한 절반의 이유는 러시아의 만주 점령에 따른 정책 전환에 있었고, 다른 절반의 이유는 영국의 아시아 해군력의 상대적 약화에 있었 다고 할 수 있다.37) 당시 영국은 ‘명예 있는 고립’이라 하여 강한 영국은 동맹국 주 32) 유호근,「동북아 국제정치지형과 한반도 : 20세기 영일동맹과 21세기 미일동맹을 중심 으로」,『동서연구』 Vol.18, No.2, 서울 :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6, pp.11~12. 33) 이현희, 『도전과 응전의 우리나라 근대 100년』, 서울 : 새문사, 1997, p.291. 34) 최문형, 『列强의 東아시아 政策』, 서울 : 일조각, 1979, pp.50~80. 35)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외교사 Ⅰ』, 서울 : 집문당, 1993, p.331. 36) 최문형,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 p.138. 37) J.A.S. Grenville, Lord Sailsbury and Foreign Policy-The Close of Nineteents Century, London, Anthlone Press, 1964, pp.403~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