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page

Ⅰ전쟁사Ⅰ 러 ․ 일전쟁기 러시아군과 한인과의 관계 연구 220 군사연구 제126집 하고 있다. 또한 『한러 군사관계사』에서는 좀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 기존의 의 의, 무장, 미완성의 이유뿐만 아니라 편제와 운영방식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설명 을 하고 있으며 기존의 연구 보다 좀 더 깊이 있는 분석 및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 저술들은 모두 원사료를 기본으로 삼아 새로운 사실에 대한 소개와 분석을 시 도하고 있다는 데에서 학계에서는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일정 한 부분에 대해서만 소개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그에 대한 분석 또한 아쉬운 면이 있다. 그렇게 보면 ‘한인의용군 편성계획’ 전체에 대한 구 체적이고 다양한 측면의 분석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연구 대상인 ‘러시아 한인 유학생들의 러시아군 협조활동’에 대 해서는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내용 정리조차 없는 실정이었다. 단지 박종효 박사가 모스크바에서 발행한 전서 “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1904-1905 гг. и Корея (러일전쟁 1904-1905과 대한제국)”과 2002년에 서울에서 발행한 “러시아 국립문서보관소 문서집”26)의 여러 문서 안에 그에 관련된 내용들 이 산재되어 있을 뿐이었다. 하지만 다행히도 최근 한 학회지(2008년 9월 30일 발행)에 “비류코프의 활동”27)에 대한 내용을 연구 발표하면서 한인 유학생들의 참전 협조활동에 대한 일면이 내용의 일부로서 요약되었다. 또한 러일전쟁 종료 직후에 한인의병들이 어떠한 활동을 전개하였는지에 대 해서도 그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국내학계의 연구에서는 일제 강점기가 시 작되어 연해주 지방에서 본격적인 활동이 진행되는 1910년 이후의 한인들의 민 족운동에 집중하고 있다.28) 연해주 지방의 민족운동의 태동이 될 수 있는 러일 주 26) 박종효,『러시아 國立文書保管所 所藏 韓國 關聯 文書 要約集』, 서울 : 한국국제교류 재단, 2002. 27) 박종효, 「관립 俄語學校 설립과 교사 비류코프의 活動(1896~1916)」,『한국근현대사 연구』46, 한국근현대사학회, 2008. 28) 러시아지역 한인 민족운동에 대한 연구는 박형표에 의해 연해주 지역의 한인 독립 운동에 대한 개척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이래, 고승제에 의하여 연해주 이민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가 이루어졌다. 그 후 1980년대 한국의 민주화운동, 1990년의 러시아 와 한국과의 수교 등으로 러시아 지역의 한인 민족운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이 분야에 대한 적지 않은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었다. 그런데 이들 연구 성과들의 대 부분은 한인 공산주의운동에 관한 것이었고, 러시아혁명 이전의 활동에 대하여도 연구들이 있다. 그들의 연구를 통하여 러시아 한인사회와 재러한인의 의병활동, 언 론활동, 민족주의 교육운동, 성명회, 권업회 등의 독립운동단체, 독립운동기지인 신 한촌 등에 대한 많은 내용이 밝혀지게 되었다. ’90년대 후반과 2000년도 들어서도 한인 민족운동에 관한 연구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자세한 러시아 한인 민족운동사 는 다음의 저서를 참고할 것. 박환, 『러시아 한인민족운동사』, 서울 : 탐구당,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