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page

군사연구 제126집 217 을 열강 대립의 한 국면으로 파악한 경우로, 제1차 세계대전의 전사(戰史)로서 자 리매김하고자 하는 경향과 맞물리고 있다. 다른 국가들의 경우에도 러일전쟁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다. 특히 전쟁 의 당사국은 아니었지만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여러 학자들이 최근까지 개설서나 연구결과를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다.18) 한국에서는 지난 2005년이 러일전쟁과 1905년 강제 보호조약(을사늑약) 100주 년과 광복 60주년이 겹치는 해였다. 하지만 러일전쟁이 100주년이 되었다 하더라 도 그 전쟁으로 일본의 동북아의 지배적 장악을 위한 결전이었으며 한반도의 식 민지화에 있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계의 관심은 일본이나 세 계 다른 지역에 비한다면 굉장히 빈약한 편이었다.19) 사실상 대한제국은 러일전 쟁 개전과 동시에 그 전쟁터가 되었고 일본의 대륙진출에 교두보가 되고 동시에 일본의 식민지가 되고 말았다. 러일전쟁은 청일전쟁을 통해 식민지화의 위기에 몰렸던 대한제국을 러시아가 개입해 약 10여 년간 독립이 유지시켰으나 러시아가 패함으로써 결국 일본의 지배하에 들어가도록 만든 전쟁이 되었다.20) 그렇기 때 문에 당시의 피압박민족의 입장을 반영한 한국은 러일전쟁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 의 침략정책이 어떻게 나타났으며, 그 정책이 러시아의 제국주의와는 어떻게 맞 물려 돌아갔는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이에 대해 민족해방운동의 관점에서 피압박민족으로 어떻게 대응했으며, 어떤 노력이 있었는가를 규명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1990년 주 18) 최근 2004년 이후에 나온 러일전쟁에 관한 연구결과로는 다음과 같은 저서들이 있다. Lionel James, A Study Of The Russo-Japanese War, Kessinger Publishing, LLC, 2007 ; Colonel Charles Ross, An Outline Of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Volume I, Skinner Press, 2007 ; Sebastian Dobson, Anne Nishimura Morse, Frederic Sharfe, Anne Nishimura, Much Recorded War : The Russo-Japanese War In History And Imagery, MFA Publications, 2005 ; Rotem Kowner, The Impact of the Russo-Japanese War Routledg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 Rotem Kowner,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Scarecrow Press, 2006 ; Rotem Kowner, The Impact of the Russo-Japanese War, Routledge, 2006 ; Philip Jowett and Alexei Ivanov, The Russo-Japanese War 1904-05, Osprey, 2004 ; Peggy Warner, The Tide at Sunrise, A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1904-05, Routledge, 2004. 19) 도진순, 「세기의 망각을 넘어서 -러일전쟁 100주년 기념행사를 중심으로」, 『역사비 평』 77, 서울, 역사와 비평사, 2006, p.304. 20) 최문형,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 병합』, 서울 : 지식산업사, 2005, 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