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page

군사연구 제126집 213 Ⅰ. 서 론 1904년 2월 8일 제물포항에는 일본 순양함과 두 척의 러시아 전투함 및 러시아 여객선 그리고 다수의 전쟁 중립국의 선박들이 정박해 있었다. 일본 함대가 제물 포에 나타나자 러시아 함은 일곱 차례에 걸쳐 여순(旅順) 극동총독부와 통신 시 도를 하였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다. 일본 측에 의해 케이블 통신이 단절된 상태 였기 때문이었다.1) 결국 러시아 전함인 순양함 바랴크(Варяг)와 포함 까레예치 (Кореец, 한인이란 선박 호칭) 중 까레예치호는 러시아 극동총독부에 연락을 위 해 제물포항을 출항을 하였으나 팔미도(八尾島) 앞 해상에서 갑자기 일본의 3척 의 순양함과 4척의 수뢰정을 만나 방해를 받고 다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2) 이 과정에서 일본의 수뢰정이 먼저 까레예치호에 3발의 수뢰를 발사했고 까레예치호 도 응사해 제물포에서 러일전쟁의 첫 포성이 울렸다.3) 이렇듯 러일전쟁은 대한제 국의 항구도시인 제물포에서 시작되었다. 제물포 전투4)에서 시작된 한반도 내 전 투는, 일본이 러시아 세력을 한반도에서 완전히 밀어낸 압록강(Yalu) 전투5)에서 그 끝을 맺게 된다.6) 러일전쟁은 20세기가 시작되면서 벌어진 최대의 충돌이었다. 북동아시아, 특히 대한제국과 만주에 대한 지배권을 둘러싸고 벌인 전쟁은 많은 국가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두 나라의 전쟁모습이 새로운 형태의 현대전의 양상을 띠고 있었기 때문에 서방열강은 장교단(Observer)까지 파견하여 전쟁을 참관하였다.7) 주 1) Colonel Charles Ross, An Outline Of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Volume I, Up to, including, the battle of Liao-Yang, London, Skinner Press, 2007, p.75. 2) Пак Чон Хё, 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1904-1905 гг. и Корея, Москва,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97, c.163. 3) Geoffrey Juke,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Oxford, Osprey, 2002, p.25. 4) 자세한 전투경과 보고서가 러시아군역사 문서보관소에서 발굴되었으며, 국내에서 번역되 어 자료해제가 되었다. 다음을 참조할 것. 심헌용, 「1904년 대한제국 해안에서 러시아 선 박 제1급 순양함 <바랴크>호와 포함 <꼬레이츠>호가 일본함대에 맞서 벌인 전투」, 『제물포학연구』5, 제물포, 제물포대학교 제물포학연구원, 2006. 5) 1904년 4월 1일에서 5일까지 벌어진 전투로 러시아의 패배로 끝났다. 러시아군은 16,000명의 소총수와 2,350명의 기병대, 640기의 기마정찰대, 48문의 야포, 8문의 산악 포, 그리고 6문의 견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결국 2,700명의 사상자와 500명의 전쟁포로가 발생하였다. Rotem Kowner,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Lanham, Scarecrow Press, 2006, p.423. 6) Rotem Kowner,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p.192. 7) Rotem Kowner, The impact of the Russo-Japanese War, New York, Routlidge, 2007, 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