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page

군사연구 제126집 151 악하고 있는 중국에게 커다란 안보상의 위협이 되었던 것이다. 중국은 이 지역의 영토완정을 위해 ‘자위반격․국경방어의 전투’라는 명분 아래 베트남으로 군사개 입을 결정하였던 것이다. 둘째, 소련과의 관계이다. 사례분석에서도 알 수 있었듯이 소련과의 관계 변화는 중국의 대외정책에 변화 를 가져온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냉전시대 사회주의의 맹주국인 소련은 중국과 형성된 이념적 연대를 통해 중국이 다른 국가로 군사개입을 이행하는데 간접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였으며, 대립관계에 놓이면서는 군사개입의 대상이 되는 국가편 에 섬으로써 중국이 군사개입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소련과의 관계 측면에서 사례에서 분석한 내용들을 종합하면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과 연대를 추구하고 이전의 관계를 개선하여 중국에 대한 불신을 없 애고, 국내 경제건설에 필요한 원조를 받기 위해 한국전쟁으로의 군사개입을 결 정했던 것이다. 중․인 국경분쟁과 중․월 전쟁 당시 중국과 소련의 관계는 한국전쟁 때와는 또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소련으로부터의 원조는 더 이상 없었으며, 소련 역시 미국과 마찬가지로 패권 추구를 일삼는 타도의 대상국이 되었기 때문이다. 중․인 국경분쟁은 중국에 대한 소련의 지원이 전면적으로 중단된 이후 발생한 사건으로 양국의 관계는 악화되어 있었다. 당시 인도의 친소적 태도와 소련의 인도지지는 중국으로 하여금 소련에 대한 배신감과 적대감을 더욱 짙게 만들었다. 이후 베트남과 소련의 동맹 체결 및 소련의 베트남 원조와 이를 위시한 베트남 의 팽창정책이 중국이 베트남뿐만 아니라 소련에게까지 교훈을 주고자 군사개입 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셋째, 패권주의의 반대이다. 마오쩌둥은 제국주의가 전쟁을 조성하므로 이것이 소멸되어야만 세계가 평안할 수 있다고 언급한바 있다. 덩샤오핑 역시 제국주의를 전쟁의 근원으로 보고 제국 주의 국가가 대외정책에서 행하는 패권주의와 강권정치에 반대했다. 패권주의 반 대의 측면으로 사례에서 분석한 내용들을 종합하면, 한국전쟁으로의 미국의 개입 은 중국으로 하여금 미국이 한반도, 나아가 중국 대륙에까지 패권을 행사하기 위 함으로 인식하도록 했다. 이는 중국이 한국전쟁을 ‘항미원조(抗美援朝)’ 전쟁이라 고 지칭하는 것에서 명확히 할 수 있다. ‘미국에 대항하여 조선(북한)을 돕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