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page

군사연구 제126집 147 2) 소련의 중국 포위 저지 중․인 국경분쟁의 사례에서 보았듯이 중․월 전쟁에서도 소련은 중국의 정책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베트남은 인도차이나에서의 패권추구를 위해 중국보다는 유럽 위주의 소련과 결탁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과 전후 복구를 위한 경제원조 필요성으로 친소 정책을 펼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중국은 1969년 소련과의 국경충돌을 정점으로 반소 감정이 절정에 달했다. 중국 대외정책은 인민 전쟁이나 무력 투쟁보다는 패권주의에 반대함을 핵심으로 삼았다. 중국은 당시 이론적으로는 미․소 양국을 적으로 간주하고 있었으나, 점차 그들의 대외정책 속에 미미하게나마 미국과의 부분적인 교류를 포함시키는 실용주 의 외교를 선택함으로써 미․소 양국에 대한 우선순위를 바꿔가고 있었다. 이로써 중국은 소련을 미국보다 더욱 위험하고 불성실한 존재로 선언한 셈이 되었다.62) 다른 한편으로 중국과 베트남은 주변 도서에 관한 영유권을 둘러싸고 갈등이 빈번했다. 통일 베트남이 수립된 후 이 문제는 구체화 되었고 소련은 베트남을 지지했다. 베트남도 종전 후부터 국제문제에 있어서 소련을 입장을 지지함으로써 전시 중․소에 대한 등거리 외교에서 이탈하여 소련에 대한 경사를 분명히 했다. 1975년 6월, 베트남은 인도 간디(Mohandas Karamchand Gandhi) 수상의 비상사 태 선포를 지지함으로써 인도정부를 후원하고 있는 소련의 입장에 동조하였으며, 같은 해 9월 포르투갈 사태 발생 시 소련의 지지를 받는 포르투갈 공산당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또 11월 앙골라 사태 발생 시에도 소련의 지원을 받는 앙골라 인민공화국을 공식 승인했다.63) 중국은 이에 대해 베트남에 대한 경제 원조를 중단하는 것으로 응수했다. 베트 남 측 주장에 의하면 중국은 1973년 6월 레주언 당서기가 북경을 방문했을 때 하 노이에 대해 1973년 수준으로 5년 간 지속적인 무상원조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했으나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또 베트남의 장기 경제개발계획(1976~1980년)에 대한 지원 요청을 거부함으로써 결국 베트남으로 하여금 소련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게 했다. 1975년 이후 중국은 베트남에 대한 무상원조를 중지하였고, 1977년 이후에는 차관조차도 중지했다.64) 주 62) “Chairman Mao's Theory of Differentiation of the Three World is a Major Contribution to Marxism-Leninism”, Peking Review (November 4 1977), pp.10~41. 63) 정천구, 『중국인의 세계관과 대외정책』(서울 : 신영출판사, 1996), pp.236~237. 64)『每日新聞』, 1978年 6月 24日, 정천구, 앞의 책, pp.237~238에서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