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page

군사연구 제126집 145 중국의 베트남으로의 군사개입은 1975년 베트남 전쟁의 종결을 계기로 양국 간 국경문제 제기, 도서(南沙․西沙群島)의 영유권 문제, 베트남 내의 화교 박해문제,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문제 등으로 중국이 베트남을 군사적으로 응징하려는 정 치적 의도에서 연유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초 의도와는 달리 중․월 전쟁 후 베 트남의 소련 지향은 한층 더 강화되었다. 나. 군사개입 영향요인 1)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 베트남 전에서 미국과 전쟁을 치른 중국은 하노이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한 대신 아시아에서 강력한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56) 한편 베트남은 30년간의 내 전에서 벗어나 통일 국가로 재등장함으로써 지역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 는 잠재력을 가지게 되었다. 통일 후 베트남은 실제로 이러한 잠재력을 바탕으로 오랜 숙원이던 인도차이나 패권을 추구하였으며, 이 지역에서 혁명 수행의 지도 국가임을 자처했다. 베트남의 패권추구는 1978년 12월 25일 캄보디아 침공으로 구체화되었다. 베트남 정부는 이날 강력한 군사력으로 캄보디아의 프놈펜(Phnom Penh)을 점령했다. 이에 중국정부는 1979년 1월 7일 성명을 통해 베트남의 캄보 디아 침공에 대해 비난을 가하면서 민주 캄보디아정부에 대해 지지를 표명했 다.57) 이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1월 28일~2월 6일 간 덩샤오핑(鄧小平)의 미국 방문 시 그의 언급에도 나타나 있다. 덩샤오핑은 당시 두 차례에 걸쳐 베트남에 게 교훈을 줄 의사를 표명하면서 미국, 일본, 서구 및 중국이 협력하여 소련의 패 권주의에 저항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중국으로 귀국하는 길에 동경에 들러서 베트남에 대한 징계가 불가피 함을 역설했다. 덩샤오핑은 미상원 의원들 과의 대화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공공연히 거론하면서 “어느 때인가 우리는 우리 가 원하지 않는 일을 하지 않으면 안 될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58) 이때 미 정보 주 56) 시야창, “동남아의 신시대와 일본”, 『전환기의 동남아시아-지역정치 및 국제관계』, 박 재규 역, (서울 : 박영사, 1977), pp.60~61. 57) “중국정치연표”, 앞의 홈페이지, (검색일 : 2005. 8. 2). 58) “Teng's Triumphant Tour”, The Time, February 12 1979, http://www.time.com/time/archive/preview/0,10987,920085,00.html(검색일 : 2005.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