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page

Ⅰ전쟁사Ⅰ 중국의 군사개입 결정요인 136 군사연구 제126집 포함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부터 간도를 비롯한 만주지 역에 조선인들이 본격적으로 이주하기 시작해 1940년대 초에는 156만 2천여 명이 거주했다.32) 조선인들이 많아지면서 만주는 자연스럽게 조선인 항일투쟁의 무대 가 되었다. 특히 광활한 지리적 조건으로 일본 제국주의의 탄압 강도가 낮았기 때문에 많은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자들이 투쟁의 장소를 이곳으로 옮겨왔다. 만주지역의 무장투쟁을 지도한 사람들 중 일부는 최용건, 무정, 김일성, 김책, 방호산, 최현, 김창덕, 김웅, 박일우, 김광협, 강건, 김일, 안길 등과 같이 후에 북 한의 정치․군사의 핵심 지도부를 형성한 인물들이었다. 특히 북한의 지도자였던 김일성은 오랜 기간 동안 중국 공산당 산하에서 만주를 무대로 무장투쟁을 전개 한 가장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었다.33) 이처럼 항일(抗日) 공동투쟁 시 쌓았던 북한과 중국 공산주의자들이 강한 연 대 형성으로 한국전쟁 발발 당시 때 중국이 북한의 지원요청을 거절하기는 매 우 어려웠을 것이다. 특히 중국이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는 지리적 요소 역시 북한지원 결정의 한 요인이 되었다. 북한을 완충지대로 여기는 중국에게 접경국가에서의 전쟁과 확전 가능성은 자국의 국가안보상에 위협이 됨이 분명 하기 때문이다. 2. 중·인 국경분쟁 가. 전쟁개요 1962년 네루(Nehru, Pandit Jawahalal)의 전진정책의 구체적인 시도로 그해 8월 말까지 인도군은 NEFA(North East Frontier Agency) 지역에서 탁라능선 (Thag La Ridge)으로 약 40개의 주둔지를 전진 배치 및 확보했다.34) 인도군은 주 32) 고승제, “만주농업이민의 사회사적 분석”, 윤병석․신용하․안병직 편, 『한국근대사론 Ⅰ』(서울 : 지식산업사, 1977), pp.335~352. 33) 이종석 역,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서울 : 창작과 비평사, 1992) ; 이종석, “북한지 도집단과 항일무장투쟁”, 김남식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 5』(한길사, 1989), pp.35~ 154 ; 신주백, “김일성의 만주항일유격운동에 관한 연구”, 『역사와 현실』, 제12호 (1994), pp.144~190 참조. 34) Neville Maxwell, India's China War (New York : Pantheon Books, 1970), pp.171~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