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page

군사연구 제126집 131 Ⅲ. 중국의 군사개입 사례분석 1. 한국전쟁 가. 전쟁개요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의 종식과 함께 일본 군국주의가 패망하면서 한 국은 1910년 이래 35년 동안 받아온 일본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그러 나 20세기 후반 세계를 지배했던 냉전의 기류가 한반도를 뒤덮으면서 북위 38도 선을 기준으로 남쪽은 미군이, 북쪽은 소련군이 진주했다. 세계냉전의 심화와 함 께 한반도 내부의 갈등과 분단의 정도 역시 심화되어 갔고, 그 결과 1948년 남한 과 북한이라는 두 개의 분단국가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두 체제는 각자의 방 식으로 국토를 통일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으며 그 가운데 갈등과 대립이 계 속 되면서 한국전쟁에 결정적인 불씨가 되었다. 1950년 6월 25일, 김일성의 전쟁계획에 대한 스탈린의 동의와 지원으로 북한은 38도선을 돌파하여 남침을 감행했다. 북한의 기습적인 침략을 받은 한국군은 개 전 초 북한군의 공세로 열세를 면치 못하였으나 미군과 유엔군의 개입으로 북한 군의 공격은 점차 약화되었고, 유엔군 사령관 맥아더 장군의 지휘 하에 실시된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면서 서울을 탈환하게 되었다. 이 작전으로 전세가 역전되 어 1950년 9월말경 북한군은 남한지역에서 패주하였고 아군이 38도선 이남을 다 시 회복하게 되었다. 그 후 아군은 여세를 몰아 38도선 이북으로 진격하여 북한 군을 대거 격멸함으로써 전쟁 종식과 함께 한반도 재통일의 목표 달성을 낙관하 게 되었다. 중국군 개입으로 전쟁의 조기종결을 희망했던 국군과 유엔군의 희망이 좌절되 었을 뿐만 아니라 전쟁 대상이 북한군에서 중국군으로 확대되어 전쟁의 참화는 3년의 시간으로 이어졌으며 한반도의 운명은 물론 세계사를 바꾼 결정적인 사건 이 되었다. 한국전쟁은 남한과 북한의 동족 간에 벌어진 국내전이기도 하였지만,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동서 양진영 간 냉전의 산물이었다. 또 미국의 즉각 개입과 UN군의 참전, 중국의 전면적 참전, 소련의 비공식적 지원 및 참전이 있었다는 점 에서 국제적 국지전으로 규정지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