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page

Ⅰ전쟁사Ⅰ 중국의 군사개입 결정요인 130 군사연구 제126집 라고 정의한다면 군사력은 군사개입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군사개입의 수단으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군사개입의 유형은 접근방법에 따라 단독 개입으로부터 다국적 개입으로 분류 할 수 있다. 또 규모에 따라 대규모 군사개입으로부터 군사 불개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전개되는 병력의 규모와 사용되는 화력의 규모에 따라서 대규모 군사 개입, 중간규모 군사개입, 제한적 군사개입, 군사 불개입의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0) 작전의 성격에 따라서도 그 유형을 나눌 수 있는데 대전복(counter insurgency) 작전11), 친전복(pro-insurgency)작전, 평시 우발작전(peacetime contingency operations)12), 대테러 대응작전(terrorism counteraction), 대마약작전(antidrug operations), 인종분쟁의 중재 또는 조종(pacification or control of conflicts), 인 도주의적 지원(humanitarian assistance)작전, 군사적 민사작전(military civil action), 정규작전 등이다. 한편, 부시 행정부의 국가안보위원회 참모로 일했던 하스는 군사 개입의 유형 을 수행할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즉, 억제(deterrence), 예방공격 (preventive attacks), 강압(compellence), 응징공격(punitive attacks), 평화유지 (peace keeping), 전쟁수행(war-fighting), 평화조성(peace-making), 국가건설 (nation-building), 저지(interdiction), 인도주의적 작전(humanitarian assistance), 구조(rescue), 그리고 군사력의 간접적 사용(indirect uses of force)13) 등이 그것 이다. 이처럼 군사개입의 유형과 규모와 성격에 따라 여러 형태로 분류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하스의 분류기준에 따라 사례로 제시한 전쟁을 대조하여 군사개입 의 형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주 10) Benjamin Miller, Explaining Military Intervention : The Sources of U. S. Engagement in Post-Cold War Regional Crises, Prepared for delivery at the 1995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Chicago (February 21-25, 1995), pp.4~28, 계용호, 앞의 논문, p.11에서 재인용. 11) Michael T. Klare and Peter Kornb, eds., Low Intensity Warfare: Counter insurgency, Pro insurgency, and Anti-terrorism in the Eighties (New York : Pantheon, 1988), pp.56~62. 12) 앞의 책, pp.66~69. 13) Haass, Intervention, pp.4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