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page
93 알면 상식이 되는 우리 역사 명칭 해설 1 해설 2 해설 3 내승 內乘 고려왕조 궁내에 필요한 마필을 관장하는 관청 조선왕조 왕이 타는 수레, 말을 관리하고 훈련시키는 고난원으 로 사복 시속 관원 내시 內侍 고려왕조 재주와 용모가 뛰어난 세족자제(世族子弟)들을 임용하여 숙위(宿衛) 및 근시(近侍)의 일을 맡던 관원 조선 때 환관의 별칭 내신좌평 內臣佐平 백제시대의 1품 관직 시중(侍中), 수상(首相)과 같다 내의령 內議令 고려왕조 내의성의 장관 종1품직 내의원 內醫院 조선왕조 왕의 약을 제조하는곳 내자시 內資寺 조선왕조 왕실 소요 물품 조달 기관으로 행사도 주관 내직랑 內直郞 고려왕조 동궁(東宮:세자의 거처)에 소속된 종6품의 벼슬 내탕고 內帑庫 조선왕조 왕실의 금, 은 비단, 포목 등을 보관하던 임금의 창고 노비변정도감 奴婢辨正都監 조선왕조 노비의 소송 사건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관 녹사 錄事 신라시대 사찰성전의 관직 고려왕조 정5품의 무 관 벼슬 조선왕조 각 관아에 속 한 하급 이속(吏屬) 농무별감 農務別監 고려왕조 후기에 몽고가 일본 정벌을 위해 농사짓는 소와 농기계를 관리하여 군량미를 조달하기 위하여 만든 임시 직으로 각 도에 1인씩 파견함 농상아문 農商衙門 대한제국 갑오개혁 후 농업, 수산업, 상업 등의 사무를 총 괄하는 중안 기관 후에 농상공부로 변경됨 늠옹 凜翁 신라시대 관리들의 녹봉과 궁중 제례에 소요되는 비용과 지방 재정 충당을 위하여 관리하던 토지를 관장하는 관리 로 4등급임 능마아청 能 麽 아聽 조선왕조 무관에게 병학을 가르치고 그 성적을 평가하는 기관 후기에 훈련원에 통합됨 단련사 團練使 고려왕조 도(道)의 절도사 아래의 12주(州)에 설치된 지 방관 조선왕조 사신의 왕복 길을 호송하는 군사 책임자 단인 端人 조선왕조 문·무 정8품 관리인 통사랑, 승사랑의 직을 가 진 정실부인에게 내린 작호 달솔 達率 백제시대 2품 관직 당상관 堂上官 조선왕조 문관은 정3품 통정대부 이상, 무관은 절충장군 이상, 종친은 봉순대부 이상의 품계를 가진 자로서 당상의 의자에 앉을 수 있는 사람. 국정의 최고 의결 집단으로 퇴 직 후에도 별도의 특전이 많이 부여되었다 대가 大加 고구려 부족장 부여 부족장 대각간 大角干 신라시대 17관등 위로 국가에 최고의 공로를 세운 공신에 게 주어진 호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