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page
92 2025년 2월 순국 Focus 역사의 시선으로 한 번 더 생각하는 역사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독도영유권』 서평 ‘러스크 서한’을 미국 정부의 공문이 아닌 ‘개인의 사문서(私文書)’로 해석 일본 정부의 연합국 독도 영유권 승인 주장 강력 비판 세 편의 논문과 관련 자료로 구성 글 김학준(단국대 석좌교수) “1951년 9월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연합국이 일본을 상대로 체결한 평화조약을 통해 독도는 다시 대한민국의 영구히 완벽한 한국영토로 다시 획정되고 다시 공인되었다.” 독도 연구의 독보적 업적으로 독도 연구 이끌어 와 수십 년에 걸쳐 조선=한국의 독립운동사 연구에 헌신하며 개척적 연구로써 학계에 크게 기여한 서 울대학교 명예교수이면서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인 신용하(愼鏞廈) 박사는 독도 연구에 있어서도 독보 적 업적을 보이며 이 분야를 이끌어왔다. 『독도의 민족영토사 연구』(지식산업사, 1996)와 『독도, 보배 로운 한국 영토』(지식산업사, 1996) 및 『한국의 독 도 영유권 연구』(경인문화사, 2006)는 물론이고 『독 도 영유권 자료의 탐구』 전4권(독도연구보존협 회, 1998) 등이 그것을 웅변한다. 다른 한편으로, 신 교 수는 1996년 2월에 한국독도학회 창립을 이끈 데 이어, 1997년 1월에 독도연구보전협회 창립을 이 끌면서 독도 연구를 관련된 여러 학문 분야의 전문 가들 사이의 공동 작업으로 확대하며 이 주제에 관 한 연구를 다양화할 뿐 아니라, 국내외 관심을 높여 왔다. 이러한 신 교수가 이제 최근의 쟁점들에 대한 해석을 담은 위의 책을 펴낸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독도영유권』 (신용하[愼鏞廈], 경인문화사,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