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page

명사 칼럼 • 북한 정권의 본질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평화통일 노력의 출발점이다 9 ‘조련’은 일본공산당의 지도를 받으며 과격 한 불법 투쟁을 벌여 일본 정부에 의해 해산되 었다. 그러나 ‘조련’의 잔류 조직이 모여 「조선 인단체협의회」를 결성했고, 이 단체는 1951년 에 「재일조선민주전선」으로 확대되었다. 승전 연합국과 패전 일본은 1951년 9월 8일 에 샌프란시스코에서 강화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이 1952년 4월 28일에 발표되면서 그동 안 미군의 점령 통치 아래 놓여 있었던 일본은 비로소 주권을 회복했다. 그러나 재일 조선=한 국인들은 모두 일본 국적을 잃었다. 이들은 일 본 안에서 2등 국민보다 못한 취급을 받았다. 일본 정부도 이들을 골칫거리로 취급했다. 이 러한 상황에서 이미 북한 정권의 강력한 영향 아래 놓인 「재일조선민주전선」은 1955년 5월 25일에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로 확대되었 다. 이 단체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조총련」 또 는 ‘총련(總聯)’이다. 일제가 패망하면서 일본을 점령해 통치하던 미국의 맥아더 극동군사령부는 도쿄에서 전범 재판소를 열고 전범들을 처형하거나 구속했 다. 구속되었다가 석방되어 일본 자민당(自民 黨)의 총재로 선출되고 내각의 총리대신이 된 기시 노부스케[岸信介]가 이끈 내각은 재일교 포를 홀대했다. 북한의 김일성이 노동력을 충 당하기 위해 그들을 북한으로 데려가기를 희 망하자, 기시 내각은 1959년 2월부터 이 문 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일본적십자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적십자회」와 1959년 8월 13일에 인도의 캘커 타에서 「재일조선인의 귀환에 관한 협정」, 통 칭 「캘커타협정」을 체결했다. 대한민국 정부와 ‘민단’은 재일교포를 ‘살아있는 지옥’이나 다름 없는 북한으로 보내는 것은 인도적 차원에서 용납할 수 없다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적극적 으로 반대했으나, 무위로 그쳤다. 1959년 12 월 14일에 제1차 북송선 만경봉호가 니가타 [新瀉]항을 출발했고 대체로 1984년까지 계속 되었다. 1959년 12월 14일 일본 니가타항에서 북한으로 떠나는 첫 북송 선 앞에 3,000여 명 인파가 모여 있다. 북송선은 약 48시간 후 북 한 청진항에 도착했다.  1971년 5월 재일교포를 태우고 북한으로 갈 선박이 일본 니가타 항에 정박해 있는 모습. 북·일 양측은 1959년부터 1984년까지 9 만 3,000여 명의 재일교포를 북송했다(이상 조선일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