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page
82 명칭 해설 1 해설 2 해설 3 각문 閣門 고려왕조 조회와 의례를 맡아보던 관청으로 합문(閤門)이 라고도 했으며 후기엔 통례원, 통례문으로 변경됨 각신 閣臣 조선왕조 규장각의 제학을 달리 부르는 이름. 규장각 소속 전 관리를 부를 때 사용된 이름 각장 榷 場 고려왕조 거란과 여진족을 위해 설치된 국경무역센타 관 청은 각무(榷 務)라고 하였다 각전 各廛 조선왕조 서울에 있던 공식 시장으로서 주비전(注比廛), 시 전이라고도 했으며 육주비전, 팔주비전 등으로 불리웠다 각찬 角粲 신라시대 이벌찬의 다른 이름 17관등 중 제1관등 간 干 고대 부족사회의 족장이나 왕을 간이라 했다. 신라시대 촌도전(村徒典), 마전(麻典), 재전(滓典), 석전 (席典), 양전(楊典), 와기전(瓦器典)의 직명이다 간옹 看翁 신라시대 고역전(尻驛典) 등 각 전에 둔 관리를 말한다 간의 諫議 벌해국왕을 시종하고 왕의 자문에 응하는 등 왕에게 간언 하는 직책의 관리 간의대부 諫議大夫 고려왕조 중서문하성의 정4품 관직 갈문왕 葛文王 신라시대 왕의 아버지나, 왕의 장인, 왕의 외조부, 왕의 아우, 여왕의 남편에게 사용된 칭호 감관 監官 조선왕조 관아(官衙), 궁방(宮房)에서 금전의 출납을 맡아 보는 관리 감공관 監工官 조선왕조 선공감의 토목공사를 감독하는 관원 대한제국 감공사(監工 司)의 관원을 칭하던 말 감공사 監工司 조선왕조 화폐 주조에 관한 사무를 맡은 관청 감군 監軍 조선왕조 군직(軍織)으로 군인들의 순찰을 감시하는 임시 벼슬 감랑 監郞 신라시대 급량부(及梁部), 본피부(本彼部), 사량부(沙梁 部) 등의 행정을 맡은 우두머리 감리 監理 대한제국 감리서 소속 주임관으로서 총체적인 감독 관리 최 고책임자를 말한다. 종류로는 산림, 광무, 양전 등이 있다 감리서 監理署 대한제국 개항장 개시장의 행정과 대외 관계 사무를 처리 하는 관청 감목관 監牧官 조선왕조 외관직(外官織), 지방의 목장(牧場)을 관리하던 직책 감무 監務 고려왕조 현령(縣令)을 둘 수 없는 작은 현(縣)을 관리하는 직책 감문위 監門衛 고려왕조 중앙군 육위의 하나. 궁성의 여러 문을 지키던 수 문군이다 조선왕조 의흥친군위 의 십위 중 하나의 군 부대 감사 監史 고려왕조 소부시(小府寺), 군기시(軍器寺)의 관원 감사 監事 조선왕조 춘추관(春秋館)에 두었던 정1품의 관직 감사 監司 관찰사(觀察使)의 다른 이름으로 각 도(道)의 책임자를 칭 하는 말로 종2품의 관직 감사천왕사부 監四天王寺府 신라시대 사천왕사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감서 監書 조선왕조 규장각(奎章閣) 소속 책을 관리하는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