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page

8 2024년 11월 Column     명사 칼럼 작은 소리 큰 울림  북한 정권은 철저히 ‘반(反)인민’·‘반민족’·‘반인권’의 기반 위에 서 있는 포악한 존재다. 이 냉엄한 현실 을 직시하고, 그들에 억눌려 사는 북한 동포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평화통일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대다수 국민이 제대로 된 북한관과 통일관을 유지할 때 순국자들은 안심하고 자신들의 희생에 대해  보람을 느낄 것이다. 북한 정권의 본질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평화통일 노력의 출발점이다 : 일본의 재일교포 강제 북송을 다시 생각하면서 북송 재일교포들 철저한 감시 · 차별 받아 북한 동포들 삶 향상시키는 평화통일 모색해야 글ㅣ김학준(단국대학교 석좌교수) 『조선일보』는 지난 2024년 8월 8일 A12쪽에 우리가 북한과 통일에 대한 정책을 세우고 집행 할 때 도움을 주는 매우 중요한 기사를 내보냈다. 서보범 기자가 쓴 「 “재일교포 강제 북송은 인 권 유린…일(日) 정부도 북(北) 정권 인권침해 용인” 」 이 그것이다. 1959~1984년에 재일교포 9만 3,340명을 일본이 사실상 북한으로 강제로 보낸 사건에 관한 이 기사의 내용을 뼈대로 하고 필자 나름의 약간의 해설을 덧붙이기로 하겠다. 일본 정부, 1959년부터 1984년까지 9만 3,000여 명 재일교포 북송 유엔 자료를 보면,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패망 때 일본에는 약 240만 명의 조선=한국인이 있었다. 상당수가 일제의 강제 징병과 징용 등으로 끌려온 사람들이었다. 그들을 조직화한 최초 의 단체는 1945년 10월 15일에 도쿄(東京)에서 출발한 「재일조선인연맹」, 약칭 ‘조련(朝聯)’이었 다. ‘조련’은 재일동포의 귀국사업과 생활지원, 그리고 우리말 강습 등의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공산주의자들이 주도권을 쥐면서 빠르게 좌경했다. 이에 반대하는 우익 인사들은 1946년 10월 에 「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 약칭 ‘민단’을 결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