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page

68 2025년 1월 순국 PEOPLE  아름다운 사람들 1월의 독립운동 남학교 의연금수합임시회소와 4월 국채보상의연 수합소, 1907년 5월 포천군 국채보상포의소, 1907 년 6월 이천군 국채보상보성의무사 등 김포 · 장단 · 강 화 · 양주 · 파주 등지에서 국채보상운동 단체가 설립 되었다. 충청도에서는 1907년 3월 초 충청도 54개 군 유 지의 「국채보상의조권고문」이 발표된 이후, 3월 중 순 예산군의연금모집소, 4월 말 은진군 국채보상의 무소를 비롯하여 덕산 · 해미 · 부여 · 진잠 등 충청남북 도 일원에서 국채보상의조회 · 국채보상기성회 · 국채 보상일심동맹회 · 국채보상금수습소 · 국채보상동심사 등의 국채보상운동 단체가 설립되었다. 전라도에서는 1907년 2월 20일 전북 정읍에서 정 읍단연회가 설립되었고, 곧이어 3월 초 전라도 인사 들이 대동광문회 지회를 조직하여 국채보상운동을 벌였다. 3월 중순 금산군 국채보상일신동맹회, 익산 군 국채보상단연회, 3월 하순 진안 · 장수양군 국채보 상회, 3월 하 여산군 국채보상의무회를 비롯하여 무 장 · 전주 · 부안 · 태인 · 무주 · 군산 · 정읍 등지에서 국채보 상운동 단체가 설립되었다. 그 외 황해도 · 함경도 · 평안도 · 제주도 등에 서도 국채보상운동 단체가 결성되어 의연금 모집에 앞 장섰다. 국채보상 의연금(義捐金)의 모집 국채보상운동은 각계각층이 참여하였다. 국채를 보상하기 위해 의연금을 헌납하는 데는 국민 상하의 구분이 없었다. 경북 성주군 국채보상의무회 회장 이승희는 국채보상취지서에서 헌금을 국민의 당연 한 도리로 강조하였고, 자신도 가사를 돌보지 않고 전념하였으며, 그 자신의 회갑연으로 쓸 20원을 의 연하였다.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의연금 모집에 참여한 계층도 매우 다양해졌다. 당시 『황성 신문』, 『대한매일신보』, 『만세보』 등에 보도된 기사 를 보면, 부녀자 · 상인 · 군인 · 학생 · 노동자 · 걸인 등 국 민 상 · 하의 구분이 없었다. 1907년 2월 23일 결성된 대구 남일동패물폐지부 인회는 그 취지서에서 “남성 위주의 편파성을 지적 하면서 전국에 여성들이 참여할 것”을 호소하였다. 『단연회 각면 남구조사(男口調査) 성책(成冊)』(1907년 2월, 고 령군 단연상채회) 『고령군 단연의무회 감부록(勘簿錄)』(1907년 12월 25일, 고 령 군 단연상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