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page
3월의 독립운동가 • 마가렛 센더먼 데이비스 · 이사벨라 멘지스 · 데이지 호킹 선생 63 들과 함께 준비에 착수했다. 거사 하루 전인 3월 10 일 밤 일신여학교 고등과 학생 11명이 기숙사에 모 여 태극기 50여장을 만들었다. 3월 11일 수업을 마친 후 일신여학교 학생들이 기 숙사로 돌아와 저녁 식사를 하고 저녁 9시경, 김응 수(金應守) · 김난줄(金蘭茁) · 김반수(金班守) · 김복선 (金福善) · 김봉애(金奉愛) · 박정수(朴貞守)·송명진(宋明 進) · 심순의(沈順伊) · 이명시(李明施) 등이 교사 주경 애·박시연과 함께 준비한 태극기를 들고 독립만세를 부르며 좌천동 일대를 누비며 만세시위를 전개하였 다. 그러자 이에 호응한 군중 수 백명이 이 시위 대열 에 합류했다. 이에 일제 헌병경찰이 긴급 출동하여 시위를 저지하고 주동자들을 체포함으로써 시위는 2시간여 만에 해산되었다. 이 시위에서 체포된 주동자들은 기소되어 4월 17일 부산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교사 박시은 등은 징역 2년, 학생 김응수·김난줄· 김반수 등 9명은 징역 6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 렀다. 마가렛 데이비스와 3 · 1운동 마가렛 데이비스(Margaret Sandeman Davies, 代瑪嘉禮)는 1887년 1월 12일 오스트레일리아 빅토 리아주 알란스포드(Allansford)에서 태어났다. 멜버 른의 장로회여자대학(Presbyterian Ladies College) 을 졸업하고, 이어서 멜버른대학 문학부에서 공부하 고 부속 사범과에서 2년간 수학한 뒤, 1910년 문학 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07년 학생자 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에 참여하였 으며, 1910년 디커니스훈련소(Deaconese Institute) 를 마치고, 그해 10월 20일 호주장로회 여선교사회 연합회(Presbyterian Women’s Missionary Union, Victoria)의 선교사로 파송을 받아 내한했다. 내한 직후 호주장로회에서 운영하던 부산진 일신(日新)여 학교 교무주임을 맡았고, 1914년부터 교장을 맡았 다. 1915년 교장직을 일시 사임했으나, 1916년 재차 취임하여 1921년까지 학교의 교육행정 전반을 책임 졌다. 1919년 3월 3 · 1운동이 일어나자 데이비스는 교 장으로서 일신여학교에서도 같은 시위가 일어날 것 부산진 일신여학교 옛 교사 일신여학교 옛 교사 근경(독립기념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