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age
2025년2월28일 금요일 6 (제218호) 기획 규정공파는 신라 시조왕(始祖王)의 45세손이며 관조(貫祖) 밀성대군(密城大君)의 16세손이다. 규정공의 휘(諱)는 현(鉉) 으로 1253년(高宗 40·계축)에 고려국 태사(太師) 문정공(文靖 公)의 아드님으로 태어나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사헌 부(司憲府)규정(糾正)에 이르러 관작(官爵)을 따 규정공파(糾 正公派)하고밀성대군이후12중조(中祖)의한분이다. 매년음력10월1일경기도고양시덕양구주교동17-2번지두 응촌 묘역에서 규정공(휘 현) 제단에서부터 좌랑공(휘 문유), 상장군공(上將軍公 諱 사경), 부제학공(副提學公, 휘 강생), 정 자공(正字公, 휘 절문), 정자공의 배 고려왕씨(高麗王氏), 존성 재공(存誠齋公, 휘 미) 순으로 대종회 주관 세일사를 봉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하 35지파 세일사는 소파별 종회 주관으로 봉행 한다.그리고 규정공한하 청재공(휘심문),공효공(휘 중손),공 간공(휘 건), 충정공(휘 숭원)의 부조묘 세일사 또한 대종회에 서권장하는홀기와진설기준을따르고있어소개해본다. 규정공파세일사는대종회에서1994년제정한‘향사봉행규정’ 에의해준비단계부터체계적으로진행되고있어제례봉행규정 을실어본다. 향사봉행규정 제1조 이 규정은 본회(규정공파대종회) 회칙 제24조의 규정 에의해서향사봉행에관한세부사항을규정한다. 제2조본규정은향사봉행질서의확립을목적으로한다. 제3조 두응촌 선영 시제는 본會에서 규정공 8世(존성재,휘 순)묘·단까지만 봉행하고,그 외 묘·단은 각 소파별로 봉행하도 록한다. 제4조두응촌시제는매년음력10月1日오전9시부터奉行한다. 제5조 참사원은 추원재 내에 마련한 도기소에서 도기를 하여 야한다. 제6조향사봉행을위한세부사항전례위원회에서定한다. 제7조향사봉행담당부서와인원은다음과같다. ①진 행 : 약 간 명 이 내 ②준 비 : 약 간 명 이 내 ③집 례 : 약 간 명 이 내 ④대 축 : 약 간 명 이 내 ⑤집 사 : 약 간 명 이 내 ⑥도 기 : 약 간 명이내⑦안내:약간명이내(청년위원회회원협조) 제8조부서별임무는다음과같다. 1. 진행 - ①향사봉행 절차 및 제례지휘(총무부). ②진행상의 질서유지(사업부) 2.준비 -①제수의 준비 확인(문화부)②제수운반(사업부)③ 례복.홀기.준비 및 회수(문화부) ④행사에 소요되는 십기확인 (사업부)⑤도기소설치(재무부) 3. 집례 - ①향사봉행 전에 준비담당자로부터 예복과 홀기를 인수, 예복을 입고 묘·단 앞에서 대기한다. ②배정된 담당 묘·단 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사전에 진행담당자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4.대축 -①향사 전에 준비담당자로부터 예복과 축문을 인수, 예복을입고묘·단앞에서대기한다.②이하위3항(나)와같다. 5. 집사 - ①향사 전에 준비담당자로부터 예복을 받아서 입고 묘·단 앞에서 대기한다. ②제수, 제기 완비여부 확인(숙수, 퇴주 기포함)③이하위3창(나)와같다. 6.도기-①도기담당자는추원재향사봉행전일부터향사당일 까지도기소에서도기를접수한다.②도기는가급적도기자본인 이 직접 도기 소에 와 서 도 기료 와 함께 제 출하 여야 한다 . ③도 기와 도기료는향사종료즉시재무이사에게인계하여야한다. 7.안내(청년위원회 위원 협조)①참사자의 참제 안내 ②참사 자의식사안내 제9조(헌관배정)①헌관은 전례위원회에서 정한다.②헌관은 연령·항렬 ·위선성의.소파간 균형 등을 감안하여 정한다. 단, 본 회에 비협조적인 소파는 헌관배정에서 제외 할 수 있 다 . ③ 규 정 공이하존성재공까지의초헌관은전례위원회에서定하고,아헌 관과 종헌관 기타 제관은 門 중별 윤번제를 감안하여 집행부에 서 정한다.④각 문중에 배정된 헌관명단은 지정한 일자까지 본 회에 제출하여야 한다.⑤선정된 헌관은 본회의 동의 없이 임의 로 변 경 할 수 없 다 . 제10조1.향사를봉행하는제관은물론일반참사종인들도복 장을 단정히 하고, 시종일관 경건하고 엄숙한 태도를 견지하여 야 한다.2 향사 봉행 시에는 누구나 진행 담당자의 지휘에 따라 야하며개별행동은일절금지한다. 제11조 산신제는 향사봉행 전에 지명 받은 제관이 주관하여 봉행한다. 제12조향사봉행에관한홀기.축문,진설도는별첨자료에의 한다.부칙-본세칙은1994年11月28日부터시행한다.2010年4月1日,2013年 11月25日,2014年3月17日,2015年10月14日, 2024년12월3일개정시행한다. 1열列:반서갱동(飯西羹東)메는서西,술잔중中,국은동東 2열列:어동육서(魚東肉西)어물은동東,육물은서西 3열列 : 육서소중어동순(肉西素中魚東順) 육탕肉湯 소탕素 湯,어탕魚湯 4열列 : 좌포우혜(左脯右醯) 포脯, 김, 숙채熟菜, 생채生菜, 청 장淸醬은중앙中央좌반佐飯,침채沈菜,식혜食 순順 5열列 :과실(果實)대추,밤栗,배梨,감,은행銀杏,잣松,사과 果 △ 생서조동 生西造東(생과 生果 서西, 조과造菓는 동東) △ 향동로서 香東爐西(향합香盒은 동東,향로香爐는 서西)△모서 퇴동茅西退東(모사기茅沙器는 서酉,퇴주기退酒器동東)△축 서주동祝西酒東(축판은서西,술병은동東) ○獻官以下諸子孫俱詣(헌관이하 제자손 구예)○墓位立묘소 위서립)헌관이하모든자손은나아가묘소앞에서시오 ○執禮者悅後先就墓再拜집례자관세 후 선취묘소 재배) 집례 자는먼저손을씻고묘소에재배하시오○訖(홀)○唱笏于墓庭 (창홀우묘정)묘정에서홀을읽으시오 ◎陳饌(진찬)제수를제상에진설하는예(禮) ○諸執事꿍洗 (제집사관세) 모든 집사자는 손을 씻으시오 O 陳器具饌(진기구찬) 제기와 음식을 살피시오 ○ 設香爐香盒 于 香石上(설향로향합우향석상)향로와향합을향석위에놓으시 오 ◎行降神禮(행강신례)신을모시는의식 ○初獻官꿍洗 (초헌관관세) 초헌관을 손을 씻으시오 ○ 詣香 石前눠(예향석전궤) 향석앞아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焚香再 拜(분향재배) 향을 피우고 재배하시오 ○少退立(소퇴립) 조금 물러나 서시오 ○執事一人執酒注 立于獻官之右(집사일인집주 주 입우헌관지우) 집사일인은 술병을 들고 헌관 우측에 서시오 ○執事一人奉盞盤 立干獻官之左(집사일인봉잔반 입우헌관지 좌) 집사일인은 잔반들 받들고 헌관의 좌측에 서시오 ○獻官 눠 (헌관괘) 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 執事 눠(집사역괘) 집사역시 꿇어 앉으시오 ○執事奉盤于獻官(집사봉잔반우헌관) 집사는 잔반을 헌관에게 주시오 ○執事斟酒于盞(집사침주우잔) 술병 을 들고 술을 따르시오 ○獻官執盞灌于地(헌관집잔관우지) 헌 관은 잔을 받아 땅위에 모두 부으시오 ○授盞盤于執事反之故處 (수잔반우집사반지고처)헌관의 잔을 받아 집사는 제자리에 갖 다 놓으시오 ○ 뮐伏興再拜(면복흥재배) 허리를 굽혔다가 일어 나재배하시오○降復位(강복위)헌관은제자리로돌아가시오 ◎行參神禮(행참신례) ○獻官以下皆再拜 拜興 拜興(헌관이하개 재배 배흥배흥) 헌 관이하모든참제원은절두번하시오배흥배흥 ◎行初獻禮행초헌례) O初獻官詣 香石前 北向立(초헌관예 향석전 북향립) 초헌관 은향석전에이르러북쪽을향해서시오○執事一人執酒注立干 獻官之右(집사일인집주주 입우헌관지우) 집사 일인은 술병을 들고 헌관의 우측에 서시오 ○獻官奉神位前盞盤香石前東向立 (헌관봉신위전잔반향석전동향립) 헌관은 신위 앞에 나아가 잔 반을받들어향석앞에서동쪽을향해 서시오○執事西向斟酒于 盞 (집사서향 침주우잔) 집사는 서쪽을 향해 술을 따르시오 ○ 獻官奉之奠于故處(헌관봉지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받들어 제 자리에 놓으시오 ○ 삽位亦如之(비위역여지) 할머니 같은 절자 에 따르시오 ○獻官香石前北向立(헌관향석전 북향립) 헌관은 향석앞에나아사북쪽을향해서시오○執事奉神位前盞盤立于 獻官之左右(집사봉신위전잔반 입우헌관지 좌우) 집사는 신위 전의잔반을받들어헌관좌우에서시오○獻官 눠(헌관괘)헌관 은 꿇어 앉으시오 ○執事亦 눠 (집사역괘) 집사 역시 꿇어 앉으 시오 ○獻官受盞盤小傾三祭于地(헌관수잔반 소경삼제우지)헌 관은 잔반을 받아 술을 땅에 세 번 지우시오 ○授盞盤反于執事 反之故處(수잔반 우집사 반지고처)준 잔반을 집사는 제자리에 갖다 놓으시오 ○ 뮐伏興(면복흥) 少退立(소퇴립) 몸을 구부렸 다가 일어나 뒤로 조금 물러나시오 ○執事奠肉炙(집사전육적) 집사자는 육적을 올리시오 ○啓飯蓋(계반개) 밥뚜껑을 열고 ○ 揷匙正箸(삽시정저) 젓가락을 바로 놓으시오 ○獻官以下皆俯 伏(이하 개 부복) 헌관이하 모든 참제원은 꿇어 앉으시오 ○ 祝 꿍洗(축관세) 축관은 손을 씻으시오 ○ 進獻官之左東向 눠 (진 헌관지좌 동향궤) 헌관의 왼쪽으로 나아가 동쪽을 향해 꿇어앉 으시오 ○ 讀祝(독축) 축문을 읽으시오 ○ 獻官以下皆興平身 (헌관이하개 흥평신)헌관이 모두 일어나시오 ○獻官再拜(헌관 재배) 헌관은 재배하시오 ○降復位(강복위) 헌관은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執事撤酒及炙 置盞盤 于故處(집사철주 급 적 치 잔반우고처)집사는 술을 퇴주기에 붓고 적을 물리고 잔반을 제 자리에놓으시오. ◎行亞獻禮행아헌례) ○亞獻官꿍洗(아헌관관세) 아헌관은 손을 씻고 ○詣 香石前 北向立(예 향석전북향립)향석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서시오 ○執事一人執酒注 立干獻官之右(집사일인집주주 입우헌관지 우)집사 일인은 술병을 들고 헌관의 우측에 서시오 ○獻官奉神 位前盞盤香石前東向立(헌관봉신위전잔반향석전동향립) 헌관 은 신위 앞에 나아가 잔반을 받들어 향석 앞에서 동쪽을 향해 서 시오 ○執事西向斟酒于盞 (집사서향 침주우잔) 집사는 서쪽을 향해 술을 따르시오 ○獻官奉之奠于故處(헌관봉지전우고처) 헌관은잔을 받들어 제자리에 놓으시오 ○ 삽位亦如之(비위역여 지) 할머니 같은 절자에 따르시오 ○獻官香石前北向立(헌관향 석전북향립)헌관은향석앞에나아사북쪽을향해서시오○執 事奉神位前盞盤 立于獻官之左右(집사봉신위전잔반 입우헌관 지좌우)집사는신위전의잔반을받들어헌관좌우에서시오○ 獻官눠(헌관궤) 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執事亦 눠 (집사역궤) 집사 역시 꿇어 앉으시오 ○獻官受盞盤小傾三祭于地(헌관수잔 반소경삼제우지)헌관은잔반을받아술을땅에세번지우시오 ○授盞盤反于執事 反之故處(수잔반 우집사 반지고처) 준 잔반 을 집사는 제자리에 갖다 놓으시오 ○ 뮐伏興(면복흥) 少退立 (소퇴립)몸을구부렸다가일어나뒤로조금물러나시오○執事 奠魚炙(집사전어적) 집사자는 어적을 올리시오 ○獻官再拜(헌 재배) 降復位(강복위) 헌관은 재배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執事撤酒及炙 置盞盤 于故處(집사철주 급 적 치 잔반우고처) 집사는 술을 퇴주기에 붓고 적을 물리고 잔반을 제자리에 놓으 시오. ◎行終獻禮행종헌례) ○終獻官 꿍洗(종헌관 관세) 종헌관은 손을 씻고 ○詣 香石 前 北向立(예 향석전북향립) 향석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서 시오 ○執事一人執酒注 立干獻官之右(집사일인집주주 입우헌 관지우) 집사 일인은 술병을 들고 헌관의 우측에 서시오 ○獻 官奉神位前盞盤香石前東向立(헌관봉신위전잔반향석전동향 립) 헌관은 신위 앞에 나아가 잔반을 받들어 향석 앞에서 동쪽 을향해서시오○執事西向斟酒于盞(집사서향침주우잔)집사 는 서쪽을 향해 술을 따르시오 ○獻官奉之奠于故處(헌관봉지 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받들어 제자리에 놓으시오 ○ 삽位亦如 之(비위역여지)할머니 같은 절자에 따르시오 ○獻官香石前北 向立(헌관향석전 북향립) 헌관은 향석 앞에 나아사 북쪽을 향 해 서시오 ○執事奉神位前盞盤 立于獻官之左右(집사봉신위전 잔반 입우헌관지 좌우) 집사는 신위전의 잔반을 받들어 헌관 좌우에서시오○獻官 눠(헌관궤)헌관은꿇어앉으시오○執事 亦눠 (집사역궤)집사역시꿇어앉으시오○獻官受盞盤小傾三 祭于地(헌관수잔반 소경삼제우지) 헌관은 잔반을 받아 술을 땅에 세 번 지우시오 ○授盞盤反于執事 反之故處(수잔반 우집 사 반지고처) 준 잔반을 집사는 제자리에 갖다 놓으시오 ○ 뮐 伏興(면복흥)少退立(소퇴립)몸을구부렸다가일어나뒤로조 금 물러나시오 ○執事奠鷄炙(집사전계적)집사자는 어적을 올 리시오 ○獻官再拜(헌재배) 降復位(강복위) 헌관은 재배하고 제자리로돌아가시오 ○肅俟 (숙사) 엄숙하게 조금 기다리시오 ○平身(평신) 몸을 바로하시오 ◎行辭神禮(행사신례) ○初獻官詣香石前 北向立(초헌관 예 향석전 북향립)초헌관 은 향석전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서시오 ○執事撤羹進熟水(집 사철갱진숙수) 집사자는 국을 내리고 물을 올리시오 ○立而少 俟(입이소사) 서서 조금 기다리시오 ○執事下匙箸闔飯蓋(집사 하시저합반개) 집사자는 밥뚜껑을 닫고 수저와 젓가락을 내리 시오 ○獻官以下皆再拜拜興拜興(헌관이하개재배배흥배흥) 헌관이하 모든 참제원은 사신재배 하시오 ○祝焚祝文(축분축 문) 축관은 축문을 불사르고 ○執事撤饌(집사) 집사는 제물을 내리시오○禮畢(예필)이상모든제례를마치겠습니다. 제향일 :음 10월 11일 (비위 청주한씨는 음 10월 14일.두 날짜 가가까워고위기일에지내기로문중합의) 장소:경기도 안성시 대덕면대농리산24-1번지(대농2길28, 대농리167) 청재공의 휘는 심문(審問)으로 자는 신숙(愼叔)이요 호는 청 재(淸齋)다. 공은 1408년(태종 8·무자)에 나산경수(蘿山耕 쑴) 부제학공(副提學公)의아들로태어났다. 공은 음직(蔭職)으로 인수부승(仁壽府丞)을 거쳐 사온직장 (司溫直長)이 되었다가 1435년(세종 18·병진) 4월에 문과(文 科)에 급제하여 예조정랑(禮曹正郞)을 역임하고 1437년(세종 1 9·정사)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으로 있을 때 김종서(金宗 瑞)가 불러 그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북방육진 개척에 종사 하였다.배위는청주(淸州)한씨(韓氏)로부사(副使)한승순(韓 承舜)의따님이다. 공이 하세(下世)한 후 1804년(순조 4·갑자)에 “충정고절(忠 貞高節) 불하육신(不下六臣)”이란 글을 내렸으며 이조참판(吏 曹參判)에 증직되었다. 1828년(순조 28·무자)에 영월(寧越) 창 절사(彰節祠)에 단종(端宗)과 사육신(死六臣)들과 함께 배향 (配享)되고1856년(철종7·병진)에이조판서에추증되었다. 1871년(고종 8·신미)에 “충정(忠貞)「사군진절 왈 충(事君盡 節 曰 忠)이요 청백자수 왈 정(靑白字守 曰 貞)」이란 시호(諡 號)를 내렸다. 1904년 (광무 8·갑진)에 부조지전(不 튐之典)이 내렸다. 제향일:고위음5월26일/비위남평문씨음12월12일 장소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신촌리 16(군주동) (도로명 주소옥산면신촌길100) 공효공의 휘(諱)는 중손(仲孫), 자(字)는 경윤(慶胤), 호(號) 는 묵재(默齋)또는 백당(栢堂)으로 시호는 공(公)의 부음(訃 音)을 접한 세조임금이 경순사상왈 공(敬順事上曰 恭)이요 자 혜애친왈 효(慈惠愛親曰 孝)라는 시호(諡號)와 함께 부조지전 (不튐之典)을 내려 청주시 옥산면(玉山面) 신촌(新村)마을에 부조묘가 있다.1412년(태종 12. 임진)정월(正月)에 태어나 142 6년(세종8.병오)에생원시(生員試)에합격하고이해가을에배 위(配位)를 맞이하니 남평 문씨(南平文氏)로 공조정랑(工曹正 郞)승조(承祚)의따님이다. 공(公)께서는 1435년(세종 17. 을묘) 4월 7일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집현전박사(集賢殿博士)에제수되어벼슬에올라이 조정랑, 의정부 사인(議政府 舍人), 서운판관(書雲判官븡관상 감)으로 발탁되어 장영실(蔣英實)을 독려하여 경복궁 뜰에 혼 천의(渾天儀)를 간직한 흠경각(欽敬閣)을 세우고 해시계 앙부 일구(仰釜日晷)를 발명 제작하게 하였다. 세종대왕의 특명이기 도하였다.세종,문종,단종,세조등네분의임금과도승지와공 (工),이(吏),형(刑),예조(禮曹)의 사조(四曹) 판서와 의정부 좌 참찬,한성부 부윤,사헌부 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거친 공께서는 1466년(세조 12. 병술) 5월 26일에 하세(下世)하시니 향년(享 年)55세이셨다 제향일:고위 음9월5일/비위전주최씨음6월25일 경기도양주시장흥면일영리445-1(절골) 공의 휘는 건(楗)으로 자는 자계(子啓)이고 호는 연봉(蓮峰) 이다.존성재 미(楣)의 아우로 공효공(恭孝公)의 막내아들이다. 공은 1434년(세종 16·갑인) 12월 1일에 태어나 1453년(단종 원 년·계유) 9월 26일에 중형(仲兄) 박미(朴楣)와 함께 사마관시 (司馬館試)에 동반(同伴) 합격하니 이때 단종 임금마저 박문의 경사라며 칭찬하여 왕조실록(王朝實錄)에 적고 있다. 이 시절 공의아버지공효공은도승지(都承旨)벼슬에계시었다. 공의 배위는 전주(全州) 최씨(崔氏)로 부평부사(富平府使) 최윤(崔 챕)의 따님이다. 공은 9월에 사마양시에 합격하고는 두 달도아니된11월1일식년시(式年試)문과에급제하니이때공 의나이19세의앳된나이였다. 공의 벼슬은 날로 올라 집현전수찬(集賢殿修撰)이 되고 영주 십팔학사(瀛州十八學士)에 들었다 성균관직강(直講)이조정랑 (吏曹正郞), 예문관 응교 성균관 사예를 거쳐 의정부 검상을 지 냈다.1455년(세조1)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이되었고사 인,예문관 직제학,첨지중추부사,승정원 우부승지를 거쳐 1468 년(예종 즉위)에 전라(全羅)감사로 나갔으며 강원(江原),경상 (慶尙), 평안관찰사(平安觀察使), 한성부우윤을 역임하였으며 1472년(성종3)진하부사(進賀副使)로명나라에다녀온후1477 년(성종 8)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병조 예조 공조참 판, 사헌부 대사헌 한성판윤 1495(연산군 원년)에 호조판서 형 조판서를 역임하고 의정부좌우참찬(議政府左右參贊), 좌찬성 (左贊成)에 올랐다가 1504(연산 10)에 함경도관찰사(咸鏡道觀 察使)로 좌천(左遷)되었다. 1506년 9월에 판중추부사로 중종반 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익대정국훈(翊戴靖國勳)으로 밀원군 에 겉봉 되었다가 밀원부원군(密原府院君)에 좌찬성(左贊成) 겸 영경연사(領經筵事)가 되었다. 공은 세 아들을 두었는데 장 자 승환(承煥)이 안성군수(安城郡守)를 지냈고 둘째 승수(承 燧)는병조참지(兵曺參知)를지냈으며셋째승약(承 웃)은 의정 부 사인(舍人)을 지내고 조졸(早卒)하였으며 사위 신용개(申用 漑)는좌의정을지냈다. 1509년(중종 4·기사) 윤구월 5일에 하세하니 향년 76세였다. 임금이 부음(訃音)을 듣고 애도하여 조회를 쉬고 시호(諡號)를 공간(恭簡)이라하고부조지전(不 튐之典)을내렸다. 제향일 :고위 음 8월 4일 /비위 전의이씨 음 11월 6일/비위 : 풍 양 조 씨 음 2월 25일 장소:충북청주시흥덕구강내면월탄리291-1(달여울) 공의 휘는 숭원(崇元)이요 자는 상초(尙) 요호는 졸재拙齋) 다. 공은 1532년(중종 27. 임진)에 오정공(梧公) 난의 아들로 태 어나니전한공인원(元)의아우이며밀손자다.초배(初配)는전 의 이씨 홍진(弘縉)의 따님으로 무후하고. 후배는 풍양조씨(豊 壤趙氏)현감언국(彦國)의따님이다. 공은 1564년(명종 19. 갑자) 봄에 진사시 (進士試)에 3등하고 그해10월에별시문과에병과로급제하여승문원권지정자(承文 院權知正字)가 되었 고, 얼마 뒤 병 조좌 랑을 거쳐 수 찬(修撰)·교 리(校理)·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외직으로 나가 강원 도관찰사를지내고,다시내직으로돌아와우부승지가되었다. 선조가 “세상 사람들이 모두 꾀로써 살려고 하는데 숭원 만은 그렇지 않다.”고 말할 정도로 왕의 신임이 두터웠다. 그 뒤 평안 도관찰사·대사헌·충청도관찰사·도승지등을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 (寶劍)이하사되고도승지를거쳐한성좌윤에올랐다.호성공신 (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좌찬성에 추증되고 밀천군(密 川君)에추봉되었다.시호는충정(忠靖)이다. 밀양박씨규정공파 뱚 祭 儀 두응촌1묘역전경,맨위상단의단소규정공(휘현)과아드님좌랑공(휘문유)의단(壇) [제례준비] [진설순및용어] [친진조묘제례홀기] 뱚 ■청재공(휘심문) 뱚■공효공(휘중손) 뱚■공간공(휘건) 뱚■충정공(휘숭원) 부조묘기일과소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