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age
Contents ■ 월간 『순국』에 게재된 글들의 내용은 발행처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아울러 게재된 글을 전재코자 할 때는 발행처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2025년 2월호 (통권 제409호) Intro l 순국의 창 4 애국 시 · 어록비 순례 · 이승희 선생 Column l 작은 소리 큰 울림 8 명사 칼럼 ·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 변화 전망 김두식(전 콜롬비아대사) 순국 특별 초대석 12 만나고 싶었습니다 · 허성관 한국유라시아연구원 원장(전 행정자치부 장관) 순국 People | 아름다운 사람들 52 이달의 순국선열 · 구연영 · 김도연 선생 64 2월의 독립운동 · 신간회의 창립과 활동 70 이달의 6·25 전쟁영웅 · 미군 제8240부대 유격대 72 여성독립운동가 열전 · 독립운동 크게 밝혀지지 않은 광주 최초 여의사 “현덕신” 이윤옥(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 소장)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제창 이후 일본과 미국, 중국 상하 이와 국내에서 파리강화회의 대표파견과 2 · 8독립선언, 3 · 1운동이 이어졌다. 3 · 1운동의 기폭제는 2 · 8독립선 언이었다. ‘2 · 8 독립운동’이라고도 한다. 2 · 8 독립선언 은 재일조선인운동사 속에서 독자적인 내용을 갖고 전 개한 항일투쟁이었다. 2 · 8독립운동 주체가 지향한 이 념과 활동은 향후 국내와 재일조선인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광복80주년에 2 · 8 독립선언을 다시 살펴본다. Special Theme 광복 제80주년 기념 특집 ‘2 · 8독립선언을 다시 본다’ 22 Theme ➊ 1910년대 국제정세와 2 · 8독립선언동 최우석(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28 Theme ➋ 일제의 감시망을 뚫고 결행된 도쿄 2 · 8학생독립운동 윤소영(역사학자) 36 Theme ➌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분기점, 2·8독립선언 정혜경(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 44 Theme ➍ 재일조선인 민족운동과 2 · 8독립운동 - 박경식의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 김인덕(월간『순국』 편집위원, 청암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