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page
50 2025년 2월 Special Theme 광복 제80주년 기념 특집 ‘2 · 8독립선언을 다시 본다’ 을 통해 2 · 8독립운동에 대해 언급한다.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도쿄 간다(神田)의 YMCA에서 이 루어진 2 · 8선언을 중시하여 운동이 도쿄에서 출발했다고 말 합니다. 하지만 그건 잘못된 평가입니다. 2 · 8선언은 상하이 에서 출발한 것입니다. 상하이에서 시작하여 도쿄를 경유한 것이지요(『시무(時務)의 역사학자 강덕상』, 145쪽). 독립선언도 중요하지만 파리 강화 회의에 조선 대표가 참 석한다는 것, 신한청년당에서 김규식(金奎植)이 파견되었다 는 것, 이것이 중요합니다, 국제화라는 의미에서 말이죠(위 의 책, 147~148쪽). 신한청년당은 도쿄에도 파견되어 유학생을 만납니다. 장 덕수이지요. 그는 도쿄에서 유학생들을 조직하고 조선에 건 너가 공작을 펼치다가 붙잡히지요. 일본에서는 2 · 8선언을 강조하는데 2 · 8선언에 참가한 사람들 대부분은 이후 상하이 로 가지요. 간부들 대부분이 건너갑니다(위의 책, 148쪽). 강덕상은 분명히 다르게 역사적 사실에 대해 이해했다. 그 는 상하이에서 도쿄로 2 · 8선언 관련자들이 움직인 것, 파리 강화 회의에 조선 대표가 참석한 것에 주목했다. 특히 그는 장덕수의 2 · 8독립운동에서의 구체적인 역할을 서술했다. 그런가 하면 2 · 8독립운동의 영향으로 발생한 3 · 1운동에 대한 박경식, 강덕상 두 사람의 역사 이해와 서술의 차이는 분명했다. 두 사람은 3 · 1운동 당시 민족대표에 대한 평가를 둘러싸고 첨예한 논쟁을 펼친다. 이른바 ‘박ㆍ강 논쟁’을 펼 쳤다. 민족대표에 대한 평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 는 민족대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견해이고, 또 하나는 전 자의 견해를 비판하면서 당시 시대적 상황을 감안하여 긍정 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강덕상은 민족대표의 역 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민족대표가 3 · 1운동에서 수행한 『시무(時務)의 역사학자 강덕상-자이 니치로서 일본의 식민지사를 생각한다』 (어문학사, 2021) 『여운형평전』 2를 국내에서 번역 발간한 『여운형과 상해임시정부』(선인, 2017). 이 책으로 2020년 제16회 독립기념관 학술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