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page

46 2025년 2월 Special Theme  광복 제80주년 기념 특집 ‘2 · 8독립선언을 다시 본다’ 인생을 시작한 일, 다수의 연구 성과를 낸 일, 자료관 설립운동을 진행했던 일 등을 기억하고자 했다. 이런 박경식에게 재일조선인의 역사와 관련한 대 표적인 연구 업적은 『朝鮮人强制連行の記錄』을 들 수 있다. 이 책은 식민지 과거 문제에 대한 전면적 인 문제 제기의 차원에서 저술된 성과로 1965년 한 일회담에 대한 반대를 위해 강제연행의 역사를 기록 하고 있다. 또한 박경식의 주목되는 성과로는 『在日 朝鮮人運動史硏究-8 · 15解放前』(박경식 저, 최가진 역, 『재일조선인운동사-8 · 15해방전』, 선인출판사, 2024)과 『在日朝鮮人運動史硏究-8 · 15解放後』 두 권 을 들 수 있다. 필자는 박경식의 2 · 8독립운동에 대한 서술 태도 를 최가진의 역서를 통해 서술코자 한다. 박경식은 이 두 권의 책에 대해 많은 애정을 갖고 있었다. 돌아 가시는 순간까지도 『재일조선인운동사연구-8 · 15 해방전』의 내용을 수정하고 있었다. 최가진의 역서 『재일조선인운동사-8 · 15해방 전』 은 박경식이 썼던 글을 모으고 서술 대상 시기를 1910년에서 1945년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박경 식은 2 · 8독립운동에 대해 배경, 운동 주체, 당일의 투쟁 내용, 영향, 선언의 의미 등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박경식의 2 · 8독립운동 서술 첫째, 박경식은 2 · 8독립운동의 배경으로 러시아 혁명과 해외동포 사회의 움직에 대해 적극적인 영향 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서술하지 는 않았다.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에 의해 제정 러시아가 무너지고 혁명정권에 의해 평화선언이 발표되며 민 족자결 · 무배상 · 무병합의 원칙이 분명해졌고 뒤이어 다음 18년 1월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 14개조 박경식 저(최가진 역), 『재일조선인 운동사 - 8 · 15해방전』(선인출판사,  2024) 박경식의 대표 저서 『조선인 강제연 행의 기록』(고즈윈, 2008). 1965년  일본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재일조선인 역사학자 박경식 (1922~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