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page
Special Theme • 재일조선인 민족운동과 2 · 8독립운동 45 이 글은 일본의 대표적인 재일조선 인 역사학자였던 박경식의 서술 태 도를 통해 2 · 8독립운동 이해와 서 술의 한계를 보고자 한다. 그리고 부수적으로 그의 서술 태도를 대비 적으로 보기 위해 재일조선인 역사 학자 강덕상의 시점을 언급하겠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재일조선인 민 족운동의 사실적 이해와 관련한 새 로운 방법을 찾기 위해서다. 강덕상 은 박경식과 달리 상하이에서 도쿄 로 2 · 8선언 관련자들이 움직인 것, 파리 강화 회의에 조선 대표가 참석 한 것에 주목했다. 특히 장덕수의 2 · 8독립운동에서의 구체적 역할을 서술했다. 2 · 8독립운동을 바라볼 때 3 · 1운동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고 본다. 동시에 2 · 8독립운동사에 서는 국제적 배경과 함께 민족주의 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재고할 필요 가 있다. 그럼에도 윌슨대통령의 민 족자결 원칙의 인식은 새로운 사회 를 꿈꾼 2 · 8독립운동 참가자에게 는 분명했다고 생각된다. 2 · 8독립운동 105주년에 즈음하여 재일조선인 역사에서 1910년대의 역사적 사건으로 주목되는 일은 2 · 8독립운동이다. 필자는 2 · 8독립운동과 관련하여 최근 10년 동안 주 목되는 서술로 일본에서 2015년에 간행된 『在日朝鮮人』(歷史と現在) (文京洙․ 水野直樹, 岩波書店, 2015)의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이유는 간단 하다. 간략하지만 요점을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1918년 가을, 제1 차 세계대전 종결의 시기부터 유학생학우회의 간부를 중심으로 독립운 동의 준비가 되어, 다음 해 2월 8일 학우회의 집회라는 형태로 독립을 선언하는 집회가 도쿄 간다[神田]의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열렸다. 학생 300 여명이 모여 선언문을 낭독했다. 일본당국은 중심이었던 학 생을 검거했는데, 여기에서 도망친 이광수 등이 조선과 중국(상해)에 가 서 각지의 조선인 지도자와 연대를 도모했다. 이렇게 해서 일본유학생 이 시작한 독립운동이 조선과 중국에도 파급되었다.” 이렇게 『在日朝鮮 人』은 2 · 8독립운동을 서술하면서 배경, 운동의 주체, 국내외의 영향에 주목했다. 이 글은 일본의 대표적인 재일조선인 역사학자였던 박경식(朴慶植)의 서술 태도를 통해 2 · 8독립운동 이해와 서술의 한계를 보고자 한다(부수 적으로 그의 서술 태도를 대비적으로 보기 위해 재일조선인 역사학자 강덕상(姜德相)의 시점을 언급하겠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사실적 이해의 새로운 방법을 찾기 위해서다. 기억하는 역사학자 박경식과 그의 대표적인 역사 연구 박경식은 재일조선인 1세대의 대표적인 역사학자이다. 1998년 사망 한 이후 박경식의 연구 활동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 를 생각하고 그를 기억하고자 하고 있다(김인덕, 「재일조선인사 연구의 선구자 박경식」, 『근현대 지식인과 한일 역사화해』, 동북아역사재단, 2021 참조). 그가 죽은 후 20년이 되어서는 전시회도 열렸다. 당시 전 시를 위해 제작된 「재일한인자료관 제16회 기획전 - 박경식 사후 20년 팸플릿」을 보면 박경식에 대한 기억의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재일조 선인사 연구의 제1인자로 해방을 맞이해 지난 시간을 반성하고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