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page

Special Theme • 이승만의 외교독립론과 외교독립운동 43 이승만의 독립노선은 미국에 대한 기 대와 신뢰에 기초한 것이었다. 이승 만이 주장한 서구화의 핵심은 미국 화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외교의 주된  대상도 미국으로 설정되었다. 즉각적 인 독립은 불가능하다는 현실 인식을  가진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은 구 미위원부를 설립하여 독자적인 활동 에 나섰는데, 미주 한인들로부터 모 금한 독립운동 자금을 임시정부로 송 금하지 않고 대부분 구미위원부의 운 영 경비로 사용했다. 외교 선전 활동 에서도 주로 미국에 초점을 맞추어,  친한 여론 조성과 미국 의회로의 접 근에 주력했다. 이런 상황에서 구미 위원회의 외교 전략과 노력은 실질적 인 성과를 거두기 어려웠다. 1923년  임시의정원은 위임통치청원 등을 이 유로 대통령 이승만에 대한 탄핵서를  제출했고, 결국 1925년 이승만은 탄 핵 면직되었다. 친미 외교 독립노선의 출발, 『독립정신』 이승만은 1899년 초 박영효(朴泳孝) 쿠데타 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체 포·투옥되었다. 곧바로 한성감옥에서 탈옥을 시도했으나 다시 체포되 면서 그는 1904년 8월, 5년 8개월 만에 출옥할 수 있었다. 이승만은 선 교사들의 극진한 배려와 보살핌으로 옥중에서도 ‘파격적인’ 대우를 받 았다. 감옥 안에 도서실과 학교가 설치되어 수학할 수 있었고, 자유로 운 집필활동도 가능했다. 비록 갇힌 채 사회로부터 고립되었지만, 이승 만의 생애에서 이 기간은 학문적·사상적 도야의 시기였다. 이승만이 자 신의 사상과 독립노선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독립정신』도 이 시 기에 쓰였다. 『독립정신』은 러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제국신문』, 『신학 월보』 등에 기고한 글을 한데 모아 정리한 책이었다. 이승만은 『독립정신』에서 두 가지 주요 주장을 펼쳤다. 첫번째는 한 국의 기독교화였다. 그는 이를 서양의 정치제도와 법률을 받아들인 내 정 개혁의 첫걸음으로 여겼다. 이승만은 ‘반개화국(半開化國)’에 속하는 한국이 서양 문명국의 기독교를 수용하여 국민을 교화해야만 전제정치 에서 벗어나 문명부강한 국가로 발전할 수 있다고 믿었다. 두번째는 만 국공법(萬國公法)을 바탕으로 한 중립 외교를 통해 한국의 독립을 보장 받자는 것이었다. 이승만은 만국공법에 대해 ‘세계 만국과 만국 만민이 모두 평균적인 이익과 권리를 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본질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한국이 만국공법을 준수함으로써 서양 문명국 과 동등한 권리를 회복하고,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어 완전한 자주독립 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독립정신』에서 이승만은 기독교와 만국공법을 바탕으로 한 독립노선을 이야기한 것이다. 이러한 이승만의 독립노선은 미국에 대한 기대와 신뢰에 기초한 것이 었다. 이승만이 주장한 서구화의 핵심은 미국화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외교의 주된 대상도 미국으로 설정되었다. 왜냐하면 이승만은 ‘미국은 기독교를 바탕으로 한 문명부강국이며 인간의 극락국이다. 남의 권리를 뺏지 않을뿐더러 보호하기까지 하는 의리의 나라가 미국이다. 청나라의 완고함, 러시아의 강포함, 일본의 교활함으로 국권을 상실할 위기에 있 는 한국이 믿고 의지할 곳은 미국뿐이다’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