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page
Special theme • 간토(關東) 조선인대학살과 ‘박열사건’ 43 이른바 ‘박열 대역사건’의 핵심은 간 토(關東) 대진재 와중에 일본 군대 와 경찰, 자경단에 의해 잔혹하게 희생당한 6천여 조선인들에 대한 학살의 책임을 모면하려는 일본 정 부의 공작으로 꾸며졌다는 사실에 있다. 1926년 7월 가네코 후미코가 옥중에서 의문의 죽음을 당한 후 옥 중에 수감 중이던 박열과 가네코 후 미코가 다정한 포즈로 찍은, 이른바 ‘괴사진’과 ‘괴문서’가 폭로되면서 일 본 정계를 발칵 뒤집어 놓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담당 판사가 파면을 당했고, 와카츠키 내각이 붕괴되는 등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박열과 가 네코 후미코의 반천황제 의열활동 과 법정투쟁은 일본 천황제 국가존 립에 큰 위협적인 사건이었다. “실지로는 4,5천명이지만 그 뜻을 말하면, ‘조센징’이기 때문에 죽이는 것이니깐, 결국 전체 조선이 학살된 것입니다. 인명, 물자의 손상이 큰 변이 아니라 그것으로 인해 잃은 일본민족이 그 인간성을 잃고 짐승처 럼 미쳤던 것이 정말 큰 지변입니다....국가란 이름 하에 나라를 도축하 는 소수의 지배자 그것이 대일본제국이었습니다. 그것이 제 권좌를 뺏 길까봐 한 흉계가 조선인학살입니다.” (함석헌, 「내가 겪은 關東大震災」, 『씨ᄋᆞᆯ의 소리』, 1973년 9월호) 대학입시를 위해 영어학교를 다니던 중 1923년 9월 1일 대지진을 만 나 다행히 선량한 하숙집 주인의 덕분에 무사히 살아남은 함석헌(咸錫 憲, 1901~1989)은 권좌를 빼앗길까 염려한 일본제국의 흉계로 저질러 진 사건이 곧 ‘조선인학살’이라 규정했다. 1923년 9월 1일 도쿄(東京)를 비롯한 간토(關東) 일대에서 6천 6백여 명, 많게는 2만 3천여 명의 조선 인이 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정확한 피해자 수를 알 수 없는 이 학살의 근거는 “조선인이 방화했다”든지, “누군가 우물에 독약을 풀었다.”는 등 의 유언비어뿐이다. 일본 내무성은 9월 1일 밤 ‘전시’ 또는 ‘내란’, ‘폭동’ 에 해당하는 비상시국에서 발동하는 계엄령을 발령하여 군대와 경찰을 완전 무장시켜 시내로 출동, ‘조선인 사냥’에 나섰다. 군부와 경찰은 자경 단과 긴밀히 협력해 ‘불령선인(不逞鮮人)’을 연행해 경찰서로 가두었다 가 학살을 자행하도록 방조하였다. 학살과 함께 ‘요주의(要注意) 불령선인’에 대한 계엄군의 무작위 검속 으로 검거된 한인은 6,380여 명에 이른다. 당시 계엄군과 경찰에 의해 검속된 한인들 중에 박열(朴烈, 1902~1974)과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1903~1926), 그리고 최규종·홍진유 등 ‘불령사(不逞社)’ 동지들도 포함 되어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한달 반만인 10월 20일 도쿄지방재판소 검사국에서 박열과 불령사 회원들은 ‘진재(震災) 중의 혼란을 틈타 제도 (帝都) 대관(大官)의 암살을 기도한 불령선인 비밀결사’로서 16명 전원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다. 이듬해인 1924년 1월 27일에는 이 사건을 ‘대진재(大震災)를 틈탄 조선인 비밀결사의 폭동 계획’, 즉 ‘대 조선인 학살을 증언한 함석헌의 저서 『이 나라가 뉘 나라냐』(삼 일각,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