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page

42 2024년 11월 Special Theme  11 · 3(광주)학생독립운동 제95주년 특집 ‘11 · 3(광주)학생독립운동을 다시 본다’  1969년 1월 12일 거행된 대구상고 제41회 졸업 식에서는 일제시대 강제 퇴학처분 받은 세분의 순국 지사(이상호, 이준윤, 이원현)와, 세분의 생존지사(김 상길, 김정진, 서상교)에게 명예 졸업장을 수여하여 태극단학생 독립운동의 투철한 정신과 행적 을 되살리고자 하였다. 또 1975 년 3월 대구상고 교내에 기념탑 을 세웠다. 1923년 건립된 대구시 중구 대 봉동의 구 대구상고의 본관은 일 반고(대구상원고)로 전환되어 대 구시 달서구 상인동으로 학교가 이전한 이후에도 실업전문교육을 최초로 담당한 근대건축물로서, 또한 태극단독립운동의 산실로서 대구시 유형문화재 제48호로 보 존되고 있다. 2003년 대구시 달 서구 상인동에 태극단독립기념공 원을 조성하고 기념탑을 세워 태 극단의 독립정신을 기리고 있다. 이 기념탑에 새겨져 있는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침 해 빛나는 이 푸른 언덕에 서 맥맥히 자라온 겨레의 얼이 여. 반만년 깊은 뿌리 비바람에 꺾일소냐. 일찍이 서라벌에 꽃 피어 화랑이었고 여기 새로운 횃불 되어 타오르니 그 이름 태 극단이다. 1942년 왜적의 모진 손톱이 겨레의 숨 결마저 끊으려 할 즈음 바로 이 배움터에서 항거 의 탈을 잡고 일어선 봉오리 이상호 서상교 김상 대구상원고의 태극단학생독립운동기념탑을 방문한 서상교 지사(왼쪽)와 필자(오른 쪽, 2003년 10월 19일). 이 탑은 일제강점기 항일독립운동을 벌인 태극단을 기념하 기 위해 1973년 2월 1일 구 대구상업학교 본관에 세운 것을 옮긴 것이다. 현재 태극단학생독립운동기념탑의 모습(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2003년 10월  광복회 · 동창회 등이 협력하여 태극단학생독립운동기념공원에 새로 세웠다. 대구광역 시 달서구 월배로 241[상인동 1-36]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