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page

42 2024년 2월 Special Theme  신간회 창립 97주년 특집 “한국독립운동과 신간회” 신간회의 창립 주체 신간회의 창립 주체는 민족주의 비밀결사 흥업구 락부(興業俱樂部)와 사회주의 비밀결사 조선공산당 이었다. 전자는 YMCA를, 후자는 사상단체를 기반 으로 합법적인 공개 영역에서 대중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자는 비타협적 민족주의를 표방했다. 이 무렵 민족주의자들 중에는 자치운동을 계획한 이들 이 존재했다. 자치운동은 당시 ‘타협’으로 표현되었 고, 비타협이란 자치운동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 을 의미했다. 즉 흥업구락부의 민족주의자들은 자치 운동을 염두에 둔 민족주의자들과 자신을 구별했다. 다만 비타협적 민족주의 그룹과 자치운동 그룹은 차 이를 가졌을 뿐 정치적으로 대척적이지는 않았다. 한편 조선공산당의 사회주의자들은 민족주의자 들의 행보를 예의주시했다. 사회주의자들은 자치운 동이 일어날 경우 식민지 민중이 이에 호응하리라는 예견 속에서 자치운동파와의 협동 역시 부정하지 않 았다. 다만 자치운동의 소강과 비타협적 민족주의자 들의 움직임을 배경으로 후자와 연대했고 민족유일 당 형태의 신간회 창립을 이끌었다. 신간회 본부 간부에는 회장 이상재(李商在)와 안 재 홍(安在鴻) 등 흥업구락부 인사들과 김준연(金俊淵), 한위건(韓偉健) 등 조선공산당 당원들이 포진했다. 또한 신간회 지회에는 기독교 인사들과 조선공산당 원들, 천도교 구파인 천도교청년동맹원들이 적극 동 참했다. ‘민족동권(民族同權)’의 제기 신간회의 강령은 “①우리는 정치·경제적 각성을 촉구한다, ②우리는 단결을 공고히 한다, ③우리는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한다”였다.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이 동의했 던 신간회 강령의 의미는 주의 깊게 봐야 한다. 특히 제3항의 ‘기회주의’는 당시 ‘타협주의’, ‘자치주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즉 신간회 창립 주체들은 수그러졌지만 민족운동 진영 일각에서 일시적으로 계획되었던 자치운동의 위험성을 경계했다. 그러나 ‘타협운동의 부인’이 아닌 기회주의, 즉 ‘타 협주의의 부인’이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신 신간회 본부의 주요 간부들. 왼쪽부터 이상재(출처 독립기념관), 안재홍(한국학중앙연구원), 김준연(조선일보, 1930.8.31), 한위건(동아일보 ,  1933.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