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page
Special Theme • 정의부의 국내진공작전 41 정의부는 1924년 11월 중국 동북지 역인 남만주의 화전현에서 성립된 남 만주지역의 대표적 독립운동 단체였 다. 참의부 · 신민부 등과 함께 3부로 일컬어지며, 1920년대 중후반 만주 지역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정의부 는 입법 · 사법 · 행정의 3권 분립 체제 를 갖춘 준정부적 조직으로서 헌법에 준하는 헌장도 제정하였다. 남만주 지역 40여 현(縣)에 거주하는 한인들 을 기반으로 자치행정을 실시하면서, 의용군 독립군을 편성하여 항일무장 투쟁도 활발히 전개하였다. 오동진은 정의부의 무장투쟁을 이끌었는데, 특 히 평북 초산 · 벽동 · 철산군의 국내진 공작전을 주도하였다. 정이형 역시 중대장으로서 1925~26년 활발한 국 내진공작전을 벌였다. 정의부의 조직과 목적 정의부(正義府)는 1924년 11월 24일 중국 동북지역인 만주의 화전현 (樺甸縣)에서 성립된 남만주지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 단체이다. 참의 부 · 신민부 등과 함께 3부로 일컬어지며, 1920년대 중후반 만주지역 독 립운동을 주도하였다. 중심인물은 이상룡, 김동삼, 오동진, 이청천, 김 창환, 정이형 등이다. 특히 정의부는 입법 · 사법 · 행정의 3권 분립 체제 를 갖춘 준정부적 조직으로서 헌법에 준하는 헌장도 제정하여 주목된 다. 하얼빈 이남 40여 개의 현(縣)에 거주하는 한인(韓人)을 기반으로 자 치행정을 실시하는 한편 의용군을 편성하여 항일무장투쟁도 활발히 전 개하였다. 정의부의 중앙조직을 상세히 살펴보면, 행정기관은 중앙행정위원 회였고, 사법기관은 중앙심판원이었다. 그리고 관할 각 지역에서 선출 한 약 30명으로 구성된 입법기관인 중앙의회가 있었다. 중앙행정위원 회에는 민사 · 군사 · 법무 · 학무 · 재무 · 교통 · 생계 · 외무 등 8개 부서를 두었 다. 아울러 각 부서와는 별도로 독립군을 총괄할 사령부를 조직하여 이 를 통해 무장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효율적으로 한인사회를 운영하고 지원하기 위해 관할 각 지역 에 지방조직을 설치하였다. 즉 한인 가구 1,000호를 한 단위로 묶어 총 관구(總管區)를 설치하고, 그 밑에 500호로 지방, 100호로 백가장(百家 長), 50호로 구, 10호로 십가장을 설치하였다. 이들 각 지방 조직에도 중앙에서와 마찬가지의 입법 · 사법 · 행정의 업무가 행해질 수 있는 지방 행정위원회나 의회 · 사판소(심판원이 후에 사판소로 명칭이 바뀜)등이 설치되었다. 정의부의 만주에서의 활동은 1920년대 초반 보다 어려운 상황이었 다. 1925년 6월 조선총독부와 중화민국 봉천성(奉天省) 사이에 비밀리 에 ‘미쓰야 협정(三矢協定)’ 또는 ‘미쓰야 협약(三矢協約)’이 체결되었 기 때문이다. 실제 협약은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미쓰야 미야마쓰(三矢 宮松, 1880~1959)와 봉천성장 및 만주의 봉천군벌 장작림 휘하 봉천 성 경무처장 위전(于珍)이 체결하였다. 이 협약으로 만주 내 항일 독립 운동이 크게 탄압되어 위축되었다. 만주 각지에 있던 한국독립군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