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page

41 알면 상식이 되는 우리 역사 관직명 해설 봉정대부(奉正大夫) 조선 때 종 4품의 문관(文官)과 종친에게 준 관계(官階). 봉직랑(奉直郞) 조선 때 종 5품의 문관(文官)과 종친에게 준 관계(官階). 봉헌대부(奉憲大夫) 조선 때 정 2품으로 의빈(儀賓)에게 준 품계(品階). 부신금(副愼禽) 조선 때 정원서(掌苑署)에 소속된 종 8품의 잡직. 부신수(副愼獸) 조선 때 궁중의 정원을 관리하던 종 9품의 잡직. 부위(副尉) 조선 때 의빈부(儀賓府)에 속한 정 3품의 관직이며 조선말의 무관. 부윤(府尹) 조선 때 정 2품의 지방 관직으로 부(府)의 우두머리. 부응교(副應敎) 조선 때 홍문관에서 경서와 사적(史籍)을 관리하던 종 4품의 관직. 부장(部將) 조선 때 무관직으로 오위에 속한 종 6품의 벼슬. 부장(副將) 조선 말의 무관으로 정 2품이며 상장(上將) 밑의 관직. 부전수(副典需) 조선 때 내수사(內需司)에 소속된 종 6품의 관직. 부전악(副典樂) 조선 때 장악원(掌樂院)에서 음악에 관한일을 한 종 6품의 관직. 부전율(副典律) 조선 때 장악원(掌樂院)에서 음악에 관한일을 한 종 7품의 관직. 부전음(副典音) 조선 때 장악원(掌樂院)에서 음악에 관한일을 한 종 8품의 관직. 부정(副正) 고려 때 각 관청 소속의 종 4품 관직. 조선 때 각관청의 종 3품 관직 . 부정자(副正字) 고려와 조선 때 교서관(校書館)과 승문원(承文院)의 종 9품의 벼슬 . 부제조(副提調) 조선 때 각 기관에 소속된 정 3품의 관직. 부제학(副提學) 조선 때 홍문관(弘文館)의 정 3품의 관직. 제학(提學)의 다음 벼슬 . 부사(府使) 고려, 조선 때 지방 관직으로 각 부의 수령을 말한다. 대도호부사( 大 都護府使: 정 3품), 도호부사(都護府使:종 3품)를 칭함. 부사(副使) 고려 때 사(使)의 다음가는 관직으로 5-6품을 가르킨다. 부사과(副司果)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무관직(武官職)으로 종 6품의 벼슬. 부사맹(副司猛)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무관직(武官職)으로 종 8품의 벼슬. 부사소(副司掃) 조선의 액정서(掖庭署)에 속한 종 9품의 잡직(雜織). 부사안(副司案) 조선의 액정서(掖庭署)에 속한 종 7품의 잡직(雜織). 부사약(副司) 조선의 액정서(掖庭署)에 속한 종 6품의 잡직(雜織). 부사용(副司勇)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종 9품의 무관직(武官職). 부사정(副司正)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종 7품의 무관직(武官職). 부사직(副司直)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종 5품의 무관직(武官職). 부사포(副司) 조선의 액정서(掖庭署)에 속한 정 8품의 잡직(雜織).